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동북 지역의 신석기~초기철기시대 공열토기 연구

이용수 157

영문명
A Study on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y from Northeastern China Region from Neolithic Age to the Early Iron age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오강원(Oh, Kangwo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4호, 59~9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동북 지역의 공열토기는 기벽 내면에서 외면 쪽으로 봉상구를 밀어내어 기벽 외면에 돌류를 형성시켜 놓은AIa식,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하되 기벽 외면에 상하 2~3열의 돌류를 형성시켜 놓은 AIb식, 상하 2~3열의 돌류를 형성시킨 뒤 기벽 내면 기벽을 점토로 폐쇄시켜 놓은 AII식, 반대로 기벽 외면에서 기벽 내면 쪽으로 밀어 내면에 돌류를 형성시켜 놓은 Ba식, 이와 같이 하되 내면에 상하 2~3열의 돌류를 형성시켜 놓은 Bb식, 위와는 달리 기벽 내면또는 외면에서 반대쪽으로 구멍을 완전히 투공시켜 놓은 C형으로 분류된다. 각 형식의 변천 관계는 중기 신석기시대 처음으로 출현한 AIa식을 조형으로 하여 후기 신석기시대 AIa식에서 AIb 식과 Ba식이 각각 파생되었고, 같은 시대 내에서 근소한 시간 차를 두고 복열 이상 시문과 기벽 내면을 점토 바름으로 마무리한 AII식과 Bb식이 각각 AIb식과 Ba식에서 파생되었다. C형은 이 형식들과 문화와 지역적 맥락을 전혀 달리하는 것으로서, 러시아 하바로프스크주의 후기 신석기문화와 자강도 공귀리유형과의 문화 교류 및 소규모 주민 이주에 의해 우수리강 서안과 압록강 서안에 출현한 별개의 형식이다. 중국 동북 지역 공열토기의 발생지이자 성행지는 嫩江 하류역권이다. 중국 동북 지역 공열토기의 대부분이 이 구역과 이 구역에 인접하여 있는 지역에 분포되어 있을 뿐 아니라, C형을 제외한 모든 형식이 이 구역에서 초현되었다. 후기 청동기시대 후반(기원전 6~5세기)에 이르면 嫩江 하류역권에서 공열토기의 제작이 쇠퇴하는데, 이와 동시에 西遼 河 상류역과 두 遼河 분기 지대에서 공열토기가 일시적으로 제작된다. 이 지역의 공열토기는 눈강 하류역권과의 문화교류 등에 의해 출현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ies in northeastern China are classified as followings. Type Ala, which pushes the decoration tool from an internal substrate to external substrate, forms raised decoration on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Type Alb, which is similar in the way of Ala, forms two to three rows of raised decorations on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Type All, which seals the inside of the substrate with clay after the formation of two to three rows of raised decorations. By contrast, type Ba, which forms the raised decoration on the internal substrate by pushing the decoration tool from the outer side of the substrate to the internal side of the substrate. Type Bb, which is highly similar to type Ba, however, different by having two to three rows of raised decorations. Unlike above, type C potteries completely perforates hol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s. The transition relationships are as followings. Type Ala and Type Ba were derived from type Ala in the Upper Neolithic, which first appeared in the Middle Neolithic. Type All and type Bb, finished with more than two rows of decorations and finished by covering the inside of the substrates with clays, were derived from type Al and type Ba, respectively, within the same period of time with little time difference. Type C differs completely from the aforementioned types in the aspects of culture and regional context. This type appeared in the west side of the Ussuri River and Yalu River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al exchange and a small immigrant between Upper Neolithic in Russia’s Khabarovsk Province and Gonggwi-ri pattern.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ies in northeastern China has originated and prevalent in the downstream of Nen River. Most of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ies in northeastern China are distributed in this area and adjacent areas. Additionally, all types except type C were first found in this area. During the late Upper Bronze Age, the production of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ies started to decline. At the same time,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ies have been temporarily produced in the upper stream of West Liao River, and Liao River area.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ies are speculated to be found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al exchange in the downstream of Nen River.

목차

I. 머리말
II. 범주와 분류
III. 공반 문화와 편년 및 시공간 양상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강원(Oh, Kangwon). (2019).중국 동북 지역의 신석기~초기철기시대 공열토기 연구. 영남고고학, (84), 59-97

MLA

오강원(Oh, Kangwon). "중국 동북 지역의 신석기~초기철기시대 공열토기 연구." 영남고고학, .84(2019): 59-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