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현생인류의 일본열도로의 확산과 의의

이용수 189

영문명
The Diffusion and Significance of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archipelago during the Paleolithic Age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장용준(Yongjoon Chang)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0호, 5~4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1.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열도는 구석기시대에 한반도로부터 사람이 건너가면서 처음으로 사람이 살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그 시작은 중기구석기시대 말 또는 후기구석기시대 초로 추정되었다. 두 지역 사이에는 해협이 있어 사람의 왕래가 제한적이었다. 빙하기 때는 일정 깊이 이상의 해수면 하강과 같은 지질학적인 여건이 형성될 때만 교류가 가능하였다. 한반도와 일본의 교류루트는 시기에 따라 한반도 남부부터 규슈로 들어가는 루트, 한반도에서 규슈를 거치지 않고 혼슈 및 세토우치해로 들어가는 루트가 존재하였다. 후기구석기시대에 두 지역에서는 유사한 석기 기종들이 출토되었다. 그 예로 슴베찌르개와 박편첨두기, 각추상석기, 유설첨두기, 조합식 찌르개 등이다. 슴베찌르개는 소재의 제작기술과 도구의 사용방식, 석기 완성품, 석재의 채집 전략이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전해졌다. 우리나라의 슴베찌르개는 현지에서 출현한 석기 기종인 데 반해, 박편첨두기는 한반도에서 유래한 도래적응품이라는 차이가 있었다. 한반도 후기구석기시대 때 등장한 투창용 찌르개의 제작과 ‘창을 던져 사냥하는 수렵방식’은 일본 구석기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후기구석기시대 때 두 지역에서는 투창(投槍)행위를 통한 원거리 사냥을 위한 석기기종과 제작기술의 개발이 중요한 생존수단이었다. 특히 찌르개는 다양한 형식들이 있지만 슴베를 만들어자루에 장착한다는 중요한 제작 기준이 있었고, 찌르개의 크기는 제작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었다. 다만, 일본열도에 유입된 한반도의 현생인류는 그 지역 내 석재에 적합한 석기 기종을 개발하였다. 그로 인해 일본에서는 한반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다양한 형식의 석기들이 지역별로 제작되었다. 일본열도 내 구석기인들은 현지의 석재 상황에 따라 박리기술을 변이시키는 한편, 석인과 세석인처럼 동북아시아지역에서 널리 사용된 기법도 사용하였다.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찌르개의 사용은 사냥을 위한 생존도구이자, 수 만 년 간 이어진 중요한 수렵행위의 핵심이었다.

영문 초록

The Japanese archipelago began to be occupied by people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people 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aleolithic Age. Peopling of Japan is presumed to be around the middle Paleolithic or late Paleolithic. There was the Korea strait between the two areas,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go, and it used to be limited for coming and going for the people. However, the sea level changes throughout the Upper Pleistocene caused different patterns in human migration and interaction. In both areas, similar types of stone tools including tanged point, bilateral point, stemmed point, and composite point have been excavated in the late Paleolithic period. It is assumed that these types of stone tools might have been transmitted to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Paleolithic people of the Japanese archipelago were influenced by the stone technique of the Korean peninsula, but made their tools with the local raw materials. Paleolithic people utilized blades and microblades which were common in Northeast Asia. The various shapes of projectile point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found in the Late Paleolithic layers could be influenced by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hunting method to throw a spear were transferr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archipelago based of the technological evidenc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points verify that they were from the Korean peninsula eventhough the tools were made of the local raw materials. Based on the technological tradition, I conclude that the people who lived on the Korean Peninsula crossed the Korea Strait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end of the Middle to the Late Paleolithic.

목차

Ⅰ. 서론
Ⅱ. 석재 적응 전략의 검토
Ⅲ.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기종 비교
Ⅳ. 일본열도로의 확산 과정과 의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용준(Yongjoon Chang). (2018).한반도 현생인류의 일본열도로의 확산과 의의. 영남고고학, (80), 5-43

MLA

장용준(Yongjoon Chang). "한반도 현생인류의 일본열도로의 확산과 의의." 영남고고학, .80(2018): 5-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