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삼국시대 낙동강 하류 지역의 주거지 전개

이용수 232

영문명
Development of dwelling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하주원(Ju Won, Ha)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80호, 61~8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원삼국시대 낙동강 하류 지역의 주거지 전개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기원전 2세기 중엽에서 기원후 2세기대에 해당하는 시기를 선진연구자들이 제시한 편년안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였다. Ⅰ단계는 기원전 2 세기 중엽에서 기원전 1세기 전반으로 삼각형점토대토기를 지표로 하였으며, Ⅱ단계는 기원전 1세기 후반에서기원후 2세기 초엽으로 주머니호,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 승문타날문을 지표로 설정하였다. Ⅲ단계는 2세기대로 노형토기와 대부호, 격자문이 타날된 토기를 지표로 하였다. 지역은 낙동강 하류에 위치하는 김해, 창원, 부산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유적은 무덤유적에서 5㎞ 내외에 위치하는 주거지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선별된 주거지는 12개소이며, 주거지와 무덤에서 출토된 토기를 참고하여 단계를 설정하였다. 단계별로 분류한주거지는 입지유형, 평면형태, 노 시설, 주혈배치로 나누어 속성을 분석하였으며, 시간적으로 유의미한 평면형태, 노 시설, 주혈배치를 조합하여 형식을 도출하였다. 형식은 ‘A-a-ㄱ, A-a-ㄷ, A-d-ㄱ, A-d-ㄷ, B-a-ㄷ, B-b1-ㄷ, B-d-ㄷ’식의 7가지가 설정되며, Ⅲ단계에 해당하는 주거지에 대하여 지역별 검토를 시도하였다. 그결과 노 시설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공통적으로 벽주식 주혈배치를 선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계별 주거지의 전개를 자연환경과 주변유적, 문헌자료 등을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주거지는 해안 및 하천 주변 구릉에 입지하여 안전을 도모하였으나 외부와 교류를 통하여 새로운 문화를 접하며 성장한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s of dwelling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Nakdong River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middle of the 2nd century BC, the period of the 2nd century AD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advanced years suggested by advanced researchers. The first stage is the second stage of the first century BC, and the second stage is the second stage of the second century BC. The third stage consisted of the earthenware pottery as the second century. The area was mainly located in Gimhae, Changwon, and Busan, which are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relics were set up in a residential area located about 5 km from the tomb site. As a result, the selected dwellings are located in 12 places, and the steps are set up referring to the earthenware excavated from the dwellings and tombs. Residential areas classified by phase were analyzed for attributes by location type, plane type, fire facility, and Columna layout and were derived using a combination of time-specific plane forms, fire facility and Columna layout. The type is set for the following types of dwellings : ‘A-a-ㄱ, A-a-ㄷ, A-d-ㄱ, A-d-ㄷ, B-a-ㄷ, B-b1-ㄷ, B-d-ㄷ ’. A local review of the dwelling corresponding to III stage was attemp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ire facilities differed and generally preferred wall columna arrangements. The development of the dwelling by level was examined by referr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nearby sites, and documents. The dwelling was located in the hills around the coast and the river to ensure safety, but it seems to have grown by touching the new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상유적 및 단계설정
Ⅲ. 주거지의 속성과 형식 설정
Ⅳ. 주거지의 단계별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주원(Ju Won, Ha). (2018).원삼국시대 낙동강 하류 지역의 주거지 전개. 영남고고학, (80), 61-85

MLA

하주원(Ju Won, Ha). "원삼국시대 낙동강 하류 지역의 주거지 전개." 영남고고학, .80(2018): 6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