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로컬라이제이션과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의 일상성

이용수 216

영문명
The Glocalization & Ordinariness of Digital Contents Platform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구모니카(Gu, Mo-Ni-Ka)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7호, 181~20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이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바, 보다 사회/문화적, 인문학적 관점에서 다음 네 가지로 글로컬라이제이션의 개념을 규정하는 바이다; 1. 전체와 부분, 일반과 특수, 보편과 개별, 절대와 상대의 구분을 초월하는 대중문화 현상. 2. 유연성을 수반한 ‘서로 다른 것들이 어딘가에 함께 속해 있는’ 모든 현상. 3. 관심사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대화·소통·개방·참여·공유 문화, 집단지성 사회의 전지구적 초문화(trans-culture) 현상. 4. ‘문화 혼종화’와 그에 따른 보헤미안 정신에 기반한 ‘공동체적 노마디즘’ 현상. 특히 디지털콘텐츠 분야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이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실천되고 있는 분야이다. 디지털콘텐츠에서는 상대를 넘어선 보편이 통하고, 보편 속에서도 상대가 실천되고, 종족의 논리가 보편이 되고, 세계적인 것이 종족 속에 스며드는 식으로 로컬과 글로벌의 구분 자체가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더불어 생산자와 수용자가 뒤섞여 있으며, 콘텐츠의 권위나 권위에서 파생되는 ‘전문성’도 그 의미를 잃는다. 이러한 일이 가능해진 배경에 ‘글로컬 디지털콘텐츠 플랫폼’이 있음을 파악하고, ‘디지털콘텐츠 읽기/쓰기 유형’을 1세대 : 커뮤니티 기반의 인터넷 문예창작 사이트, 2세대: 일상적 읽기/쓰기가 담긴 블로그와 미니홈피, 3세대: 일상의 미디어로 진화한 SNS 읽기/쓰기로 구분하여, 일반 대중의 읽기/쓰기가 어떻게 작품으로 승화되었으며 또한 그들의 일상성이 글로컬라이제이션 현상으로 그 의미를 획득할 수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는 글로컬 디지털 세상에서 일상적 읽기/쓰기를 통해 대화·소통·개방·참여·공유 문화를 실천하며 기록/정보 사회에서 대화/소통 사회로 이동하는 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우리의 미래 사회를 ‘디지텔링(Digitelling)’ 사회로 진단하고, 로컬과 글로벌의 구분 자체를 무의미하게 생각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 세대’를 미래적 대안 세대로 규정하는 바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세계 시민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는 ‘글로컬 초문화’ 세상일 것이다.

영문 초록

In recent cultural content field, when glocalization becomes the conversation topic, the study defines concept of glocalization as following 4 in sociocultural and humane respect; 1. Public culture phenomenon transcending division of whole and part, general and special, and universal and separate 2. All phenomena that each other’s different things belong to somewhere accompanying ever-changing flexibility 3. Global trans-culture phenomenon of conversation, communication, open, participation, sharing cultur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society 4. Communal Nomadism phenomenon based on bohemian mind. Especially digital content would be the field where glocalization is most actively obtained and practiced. It is because in digital content, generalization outrunning opponents communicates, and even in generalization with the way that opponent is practiced, racial logic becomes universal, and globalization permeates tribes, local and global separation itself becomes vague. Along with it, producers and consumers are mixed, and authority or professionalism of content loses the meaning. The study sees that ‘glocal digital content platform’ exists in the core phenomenon where such things become possible and investigates how reading and writing of the general public are made into literary work and how their ordinariness obtains meaning as glocalization phenomenon by dividing to first generation of ‘digital content reading and writing type’: 1st generation - internet creative writing site based on community, 2nd generation - blog and mini homepage containing daily reading and writing, and 3rd generation - SNS reading and writing which evolves to daily media. In the end, we practice conversation, communication, open, participation, and sharing culture through daily reading and writing in glocal digital world and are moving from society of record/information to society of dialogue/communication. Hence, the study diagnoses our future society as ‘digitelling’ society and defines ‘glocalization generation’ which considers local and global separation itself meaningless to future alternative generation. Through all such discussion, what the world citizen seek eventually would be ‘glocal trans-culture’ world.

목차

1. 들어가며: 글로컬라이제이션의 현주소
2. 글로컬라이제이션의 함의: ‘일상적 관심사’에 기반한 ‘초문화’
3.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분석: 읽기/쓰기 콘텐츠의 일상성을 중심으로
4. 나가며: 기록/정보 사회에서 ‘디지텔링’의 대화/소통 사회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모니카(Gu, Mo-Ni-Ka). (2011).글로컬라이제이션과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의 일상성. 글로벌문화콘텐츠, (7), 181-208

MLA

구모니카(Gu, Mo-Ni-Ka). "글로컬라이제이션과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의 일상성." 글로벌문화콘텐츠, .7(2011): 181-2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