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총고분 축조기술 비교로 본 마한과 가야

이용수 373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Mahan and Gaya 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High Mounded Tombs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한옥민(Han, Ok-Min)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35집, 4~27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마한과 가야지역은 고총고분이 비슷한 시점에 등장할 뿐만 아니라 축조기술에서도 공통성이 확인된다. 이에 필자는 축조기술 비교를 통해 고총고분 출현을 계기로 양지역의 묘장제적 변화가 가지는 상호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지역의 고총고분 조성에 적용된 축조기술은 정지공정, 성토재 이용, 심부 조성, 교호성토 등이 확인되는데 큰 틀에서는 대동소이하다. 축조 원리상 분구식(마한), 봉토식(가야)이라는 극단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통성을 보이는 데는 장송의례에서 공유된 정보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가야지역에서 주피장자 이외에 복수의 매장시설(배장, 순장)을 배치하는 점은 마한의 일분다장(一墳多葬) 장법과 상통된다. 고총고분의 묘장제적 요소를 살필 수 있는 것으로는 입지 차이, 분형 차이, 매장주체부 위치, 주구 시설, 호석 시설, 순장 실시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장례 절차와 외관의 문제가 아니라 사후 세계에 관한 당대의 관념을 반영한다. 이 중 입지, 분형, 호석 시설은 시각적 표현이 강조된 것으로 가야지역의 개성을 잘 드러냈다. 마한지역에 나타난 매장주체부의 목주 구조, 석축식 호석, 순장 성격의 매장 방식 등의 정보는 가야와 밀접하게 관련된 요소로 설명된다. 특히 나주 정촌고분 등에서 전통적 매장방식과 다르게 성토 중에 묘광 없이 조성된 배경의 답을 현지사회에서 찾기는 어려웠다. 필자는 순장이 성행했던 가야의 이미지와 크게 부합된다고 보았다. 이를 마한적 변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면 매장관념의 공유 영역이 어디까지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사례가 된다. 다만 마한과 가야지역 모두 고총고분 축조기술에서 지역단위마다 차이를 보이는 점은 대내외적인 관계를 의식하면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진 결과로 해석되었다. 분구의 대형화라는 대원칙 속에서 각각의 전개에서 다양성을 보이는 바 하나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two regions of Mahan and Gaya not only appear at a similar time but also have something in common technically. Therefore, with the advent of the high mounded tomb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 of burial in the two regions. The technology of the two regions are similar: starting method in large frame, use of fill material, central stacking method, compression and stacking method. Despite the difference between above ground method(Mahan) and Underground method(Gaya), the sharing is shown in the funeral rites. The placement of several burial facilities in addition to Gaya s main burial sites is in line with Mahan s burial method. Funeral elements can be described as differences in location, differences in ancient tomb shape, differences in burial height, ditches, girth stones and bury alive with the dead. It is not just a matter of funeral procedures and the appearance of tombs, but rather a reflection of the ideas of the time about the afterlife. Among them, the location, shape, and girth stones emphasized the visual expression, revealing the personality of Gaya. Wooden pillars, girth stones, and bury alive with the dead in the Mahan area tell the individuality of Gaya by visible elements. Unlike the traditional burial method seen in Naju Jeongchon Ancient Tombs, the burial method that does not dig pits is particularly related to Gaya. It is very consistent with the image of Gaya s bury alive with the dead. If it can be seen as a modified burial method in Mahan, it is a good example of how far the sharing of the burial spirit can be measured. However, the fact that Mahan and Gaya were not uniform in applying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high mounded tombs suggests that they were selective considering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 It shows the diversity of each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great principle of making a high mounded, so it should be interpreted carefully from a single point of view.

목차

Ⅰ. 머리말
Ⅱ. 자료 검토
Ⅲ. 축조기술 비교
Ⅳ. 마한과 가야의 고총고분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옥민(Han, Ok-Min). (2020).고총고분 축조기술 비교로 본 마한과 가야. 마한백제문화, 35 , 4-27

MLA

한옥민(Han, Ok-Min). "고총고분 축조기술 비교로 본 마한과 가야." 마한백제문화, 35.(2020): 4-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