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존대법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비교

이용수 227

영문명
Communication Regulation Ability Depending on Honorific Type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명희(Myung-hee Lee) 송승하(Seungha Song) 김영태(Young Tae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2, 190~201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고기능 자폐아동은 일반아동과 비슷한 수준의 언어적인 능력을 갖고 있으나, 청자나 상황에 맞게 자신의 말을 적절히 조절하는 화용론적 결함을 보인다. 한국어는 자신의 말을 맥락에 맞게 조율하는 표현의 하나로 존대법이 발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가 대화상대자에 따라 존대법의 사용능력이 어떤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5세에서 9세 사이의 고기능 자폐아동 12명과 일반아동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 과제는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은 존대 및 하대 상황의 대화로 제작하여, 존대법 사용에 필요한 어휘 및 형태소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부적절한 표현을 수정하는 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집단 간 수행 능력의 차이와 오류 유형 분석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대화 상대자에 따라 존대법 조율능력은 고기능 자폐아동 집단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어휘 및 형태소 조율에서도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다. 오류 유형에서는 두 집단 모두 수정오류에 비해 인식오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고기능 자폐아동에게서 그 빈도가 높았고, 오류 유형은 형태오류, 화용오류, 의미오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고기능 자폐아동은 대화상대자에 따라 존대법을 사용하는 상황을 인식하고, 수정하는 능력에서 또래에 비해 유의한 어려움을 보였다. 일반아동과 달리, 고기능 자폐아동은 하대에서 보다 취약하였으며, 이는 또래와의 교류가 적은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능 자폐아동에게 존대법의 지도가 필요하며, 중재 시 존대법을 적용하는 상황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HF-ASD) have relatively intact form of language, however they have deficits in using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has a rich honorific system; which involves not only the grammatical domain, but also the pragmatic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regulation ability depending on honorific types (non-honorifics vs. honorifics, vocabulary vs. grammatical morphemes) between children with HF-A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Methods: Twelve 5- to 9-year-old children with HF-ASD and twelve T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were asked to judge if presented conversations which had honorifics were correct or not, and then to modify them if they are incorrect. The task consisted of 23 items which had conversations with honorifics and non-honorifics. Results: The HF-ASD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in recognition of honorifics compared to the TD group. TD children had higher scores in non-honorifics than in honorifics, but HF-ASD children showed the opposite result. The HF-ASD group had lower scores in vocabulary and grammatical morpheme regulation. Conclusion: Children with HF-ASD hav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regulation skills depending on honorific types. They seem to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honorifics and modifying the honorific errors in convers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to recognize the situations in which honorifics are needed before teaching honorific system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희(Myung-hee Lee),송승하(Seungha Song),김영태(Young Tae Kim). (2020).일반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존대법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2), 190-201

MLA

이명희(Myung-hee Lee),송승하(Seungha Song),김영태(Young Tae Kim). "일반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존대법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2(2020): 190-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