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의 언어자극 유형이 언어발달지연아동의 기능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33

영문명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Adults’ Language Input on Function Word Learning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정부자(Bhuja Chung) 김미리(Miri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2, 202~213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전보식 문장이 언어발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발화형식이긴 하나, 언어적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에게 제공하는 언어자극의 형식으로 적합한가에 관한 논의는 꾸준히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세에서 4세 언어발달지연아동을 대상으로 전보식 및 문법완성식의 두 가지 언어촉진방법이 조사 및 연결어미라는 기능어 표현에 유의한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6개의 조사와 4개의 연결어미를 제공하는 문법완성식 언어촉진활동조건과 기능어가 생략된 내용어 중심의 전보식 문장을 제공하는 언어촉진활동 조건의 두 가지를 다양한 스크립트 활동 속에서 진행하였다. 두 조건에서 나타나는 기능어의 산출비율을 비교하기위해 교대중재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 ATD)를 적용하였다. 결과: 전보식 문장을 제공한 조건에 비해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으로 조사와 연결어미를 제공한 조건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표현이 비율이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결어미의 경우 조사에 비해 두 조건 간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아동에 따라 조사와 연결어미 표현의 비율에서 다른 추이를 보였으며, 이는 아동들의 학습잠재력이라는 측면에서 설명이 가능하였다. 종합적으로 언어촉진방식에 따라, 기능어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아동의 반응성에 따라 표현비유의 증감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양한 중재방식의 효과를 탐색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lthough telegraphic utterance is a natural stage of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re is considerable controversy over the use of telegraphic input to young children, especially those with language delay. Therefore, understanding whether telegraphic input is effective is important because many SLPs reported using the input while feeling it was not usef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are more likely to respond to input in a grammatically complete condition rather than to input in a telegraphic condition. Method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children between 3 and 4 years of age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They participated in a single-case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with 3 baseline phase sessions, 12 treatment phase sessions, and 3 maintenance phase sessions. Alternating orders of the 12 sessions in the treatment phase were randomly assigned splitting into grammatical and telegraphic conditions. Children were repetitively given 6 particles and 4 connective endings in natural and various script play contexts using focused stimulation and expansion methods. Results: Children produced significantly more particles when presented with grammatically complete sentences. No differences between conditions in 2 out of 4 children were found for the rates of connective endings. Conclusion: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children who are ready for immediate change would benefit more from grammatically complete prompts whereas those who are less ready would need more support. Overall, children are likely to respond to a grammatically complete input as an intervention technique. Clin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부자(Bhuja Chung),김미리(Miri Kim). (2020).성인의 언어자극 유형이 언어발달지연아동의 기능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2), 202-213

MLA

정부자(Bhuja Chung),김미리(Miri Kim). "성인의 언어자극 유형이 언어발달지연아동의 기능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2(2020): 202-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