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극 제시 유형 및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이름대기 특징

이용수 270

영문명
Effects of Verb Argument Structure and the Types of Presentation Modality on Verb Production in Individuals with Aphasia Using a Verb-Final Language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윤헤수(Hyesoo Yoon)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2, 399~41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정적 및 동적 자극유형으로 제시된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실어증 환자 집단 내에서 자극유형별 이름대기 변인 중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어증 환자 16명과 정상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논항별 10개씩 총 40개의 목표 동사를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정적 자극과 동적 자극으로 이루어진 동사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자극유형에 따른 제시 순서는 역균형화(counterbalancing)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실어증 집단이 정상 집단에 비해 자극유형에 따른 동사 논항별 이름대기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정상 집단은 자극유형에 따라 동사 논항별 이름대기 수행력에 차이가 없었지만, 실어증 집단은 동적 자극으로 제시하였을 때 1항 비대격과 2항 동사에서 수행력이 증가하였다.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정적 자극으로 제시된 1항 비능격 및 1항 비대격 동사와 동적자극으로 제시된 1항 비대격 동사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실어증 환자는 뇌손상으로 인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보였으나, 제시되는 자극유형에 따라 수행력 증가가 나타났다. 문장 내 대상(theme)이 주어로 이동하며 어순 도치로 인해 피동구조가 되는 통사적 복잡성을 가진 1항 비대격 동사의 조작부담이 실어증 중증도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변인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aming performance of persons with aphasia (PWA) by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 structure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severity of aphasia.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aphasia patients and 16 normal individuals who were matched in age and years of education. Verb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ne-place unergative, one-place unaccusative, two-place, three-place according to the argument structure, and were presented in static and dynamic modes. The correct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accuracy (%). Results: The PWA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verb naming task.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b naming task by verb argument structure and presentation mode, however PWA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erformance on one-place unaccusative and two-place verbs in both presentation modes. Among the variables by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 structu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s for severity of aphasia were one-place unergative and unaccusative verb in static mode which predicted the severity of aphasia at a rate of approximately 57.9%. For the dynamic mode, one-place unaccusative verbs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for severity of aphasia and it predicted severity of aphasia 80.9% of the tim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WA had more difficulties in naming verbs than the control group and were affected by presentation mode for verb naming tasks. The severity of aphasia was predicted by computational load of passive structure process from object movement on one-place unaccusative verb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헤수(Hyesoo Yoon),성지은(Jee Eun Sung). (2020).자극 제시 유형 및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이름대기 특징.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 (2), 399-410

MLA

윤헤수(Hyesoo Yoon),성지은(Jee Eun Sung). "자극 제시 유형 및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이름대기 특징."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2(2020): 399-4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