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청년의 이문화 변화와 커뮤니케이션 관계와의 실증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the Between Cross-Culture Exchange and Communication(Negotiation) of Korean Youth
발행기관
한국통상정보학회
저자명
이제홍(J. Hong, Lee)
간행물 정보
『통상정보연구』제19권 제3호, 153~1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대환경변화에 따라 각국의 젊은이들은 다양한 문화를 습득하기 때문에 공통적인 문화를 형성하며, 타국의 문화를 쉽게 수용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선행연구 즉, E. T. Hall(1959)의 고배경문화와 저배경문화 그리고 Hofstede(1991)의 5개 차원(권력거리, 불확실성회피, 개인 또는 집단주의, 남성성 또는 여성성, 장기적지향성)을 기본으로 하여 한국의 젊은 청년들은 이문화변화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 이문화 형성에 따른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예측모형을 도출하여 미래의 한국 통상협상 모형을 재정립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인 젊은이는 집단주의 문화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확실성 회피 성향이 있다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한국인은 장지지향성이 있으며, 권력간격이 매우 높으며, 남성주의가 강할 것이라는 실증분석 결과 반대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대체적으로 한국 젊은이의 이문화 변화 유형은 남성주의보다는 여성주의 경향이 강하며,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측면보다는 가정적인 측면으로 변화함에 따라 권력간격이 낮은 유형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장기지향적인 성향이 아니며, 즉각적인 어떠한 사안에 즉각적인 반응과 해결하고 하는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cultural values of the traditional way and the current cultural values of young people are very different, and the rejection of cross-cultural contact is greatly reduced because Korean young people easily accommodate other cultures of the US, Europe or Asia. At present, the cultural values of the traditional way and the current cultural values of young people are very different, and the youthfulness of Korean young people easily accepts other cultures of the US, Europe or Asia, so the resistance to cross - cultural contact is greatly redu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younger Korean youths are forming the change of the foreign culture and how the negotiation will proceed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se cultu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Korean young people have collectivism cultural rights and that they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that there is tendency to avoid uncertaint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tendency of opposition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at the Koreans have a strong orientation, a high power interval, and strong masculinity.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Korean culture that belongs to the high background culture, Korean young people tend to be centered in the past and decision makers tend to decide by the chief executive. On the other hand, Korean young people were denied all the verifiable cultural attributes that cultural properties and communication that maintain openness to share space exposures and office space are non - verbal, tacit communication and time observation are very long and uncertai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연구 및 가설수립
Ⅲ. 연구설계 및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제홍(J. Hong, Lee). (2017).한국청년의 이문화 변화와 커뮤니케이션 관계와의 실증적 연구. 통상정보연구, 19 (3), 153-174

MLA

이제홍(J. Hong, Lee). "한국청년의 이문화 변화와 커뮤니케이션 관계와의 실증적 연구." 통상정보연구, 19.3(2017): 153-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