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학의 자생적 근대성

이용수 200

영문명
Indigenous Modernity of Donghak(Korean Learning): Focused on the View of Human and World in the Philosophy of Choi Sihyong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저자명
조성환(Jo, Sunghwan)
간행물 정보
『신학과철학』신학과철학 제36호, 223~24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동학의 근대성을 한국사상사의 맥락에서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종래에 동학의 근대성을 논한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서구적 근대성을 기준으로 동학의 근대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와는 다른 새로운 사상적 요소를 동학의 근대성으로 규정하는 내재적 방법론을 취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동학의 인간관과 세계관에 나타난 새로움에 주목하였다.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는 전통적인 ‘하늘’을 우주적 생명력으로 재해석하고, 그 우주적 생명력이 인간 안에 내재해 있다고 하는 시천주(侍天主)적 인간관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최시형은 그것을 ‘천인(天人)’ 개념으로 정식화함과 동시에 ‘하늘’의 의미를 우주적 생명력을 제공하는 천지(天地)로까지 확장시켰다. 그래서 최시형에게 있어 만물은 천지의 우주적 생명력을 먹고 자라는 하늘의 자식으로 자리매김된다. 이로 인해 인간의 모든 행위는 우주적 생명력의 외적 표현으로 간주되고, 신성한 행위로 긍정된다. 바로 여기에서 술(述)=해석에서 작(作)=창조로의 일대 전환이 발생하고, 모든 인간은 창조적 주체로 거듭난다. 종래의 ‘성인’의 자리를 자기 안의 ‘하늘’이 대체하게 된 것이다. 이것이 바로 개벽적 인간관과 성리학적 인간관의 가장 큰 차이이다. 또한 최시형은 우주를 도덕적 관점이 아닌 생태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각각의 하늘들이 다른 하늘들에 자신의 존재를 빚지고 있는 ‘기화’의 그물망이라고 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세계는 일종의 ‘생태적 그물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생명연기의 세계에서는 어떤 존재도 홀로 존재할 수 없고, 타자와의 상호의존적 관계 속에서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인간은 한편으로는 독립적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의존적인, 상반되는 속성을 동시에 지니게 된다. 이처럼 동학은 인간중심적이고 이성중심적이고 혈연중심적인 유학적 인간관과 세계관과 도덕관을 지구중심적이고 영성중심적이고 생태중심적인 것으로 전환시켰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들은 서구의 근대성보다는 탈근대성에 가까운 것들이다. 이후에 천도교에서는 동학적 인간관과 세계관을 바탕으로 서구의 근대성을 수용하게 되는데, 따라서 거기에는 서구의 근대성과 탈근대성이 혼재되게 된다. 바로 이 점이 동학과 천도교로 대표되는 한국적 근대성의 특징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attempts to discover Donghak(東學)’s modernity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Until now, previous studies on the modernity of Donghak have been done based on the Western modernity. In this essay, I will define ‘new(modernus) thoughts’ different from Joseon’s neo-confucianism as Korean modernity, focusing on Donghk’s view of man and world. Choi Jaewoo who found Donghak, literally meaning ‘Korean Learning’, interpreted indigenous ‘Haneul’(Tien in Chinese, Heaven as God in English) as cosmic vital energy, and proposed a whole new view of man, “Everyone has Haneul within him or her.” Choi Sihyong developed it as ‘Heavenly Man’(Tien Ren in Chinese), and expanded the meaning of ‘Haneul’ to ‘Heaven and Earth’(Tiendi in Chinese) which offers cosmic vital energy to myriad things. Thus, myriad things in the philosophy of Choi Sihyong are regarded as the son and daughters of Heaven and Earth, and every movement of human as a outer expression of cosmic vital energy of Heaven and Earth. This means every expression of human is considered as divine activity. At this point, the great transformation(Gaebyok開闢) from ‘述shu’(interpret) to ‘作zuo’(create) occurs, and everyone rebirth into creative subject. This is the difference in the view of man between Danghak and Joseon neo-Confucianism. Also, Choi Sihyong interprets universe not from the moral point of view but from the ecological one, and regards it as a network of ‘transformation of vital energy’(Qihua氣化), each heavens(beings) owning its life to other heavens(beings). In other words, universe is a kind of ‘an ecological network.’ In this world of life-network, any being can not live alone, and have to maintain its own life depending on others. Thus, each one is an independent being on one hand, and dependent being on the other hand. In short, Donghak has transformed anthropocentric world view of confucianism to ecocentric one. This philosophical tendency is not so much Western modernity as Western post-modernity. Cheondogyo(Teaching of Heavenly way) succeeding Donghak has interpreted Western modernity in the base of Donghak’s world view, and so having post-modern tendency as well as modern one in Western meaning. This characterizes Korean modernity in Donghak and Cheondogyo.

목차

시작하는 말
1. 동학과 근대
2. 동학적 인간관- 하늘아(天我)
3. 하늘아(天我)의 근대성- 창조성·다양성·주체성
4. 생태적 세계관- 신령과 기화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환(Jo, Sunghwan). (2020).동학의 자생적 근대성. 신학과철학, (36), 223-243

MLA

조성환(Jo, Sunghwan). "동학의 자생적 근대성." 신학과철학, .36(2020): 223-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