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초적 수치심과 도덕 감정으로서의 부끄러움 –누스바움과 유가의 수치심 비교-

이용수 382

영문명
Primitive Shame and Ethical Emotions of Shame
발행기관
강원한국학연구원
저자명
黃貞姬(Huang Jeong-hee)
간행물 정보
『국제한국학저널』제4집, 65~8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수치심 혹은 부끄러움이라고 일컫는 감정에 관한 두 가지 관점을 비교하고 있다. 이 두 가지 관점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수치심과 ‘원초적 수치심’이다. 미국의 법 철학자 누스바움은 그의 저서 『혐오와 수치심』에서 ‘원초적 수치심’에 관해 언급하며 이러한 수치심은 대부분의 사회 구성원이 가지고 있다고 본다. 이 수치심은 태아기에 완전성이라는 이상적인 상태로의 회복을 추구하는 욕구와 관련되고 유아기를 거치면서 불충분함과 불완전성으로 남게 되며 지속적으로 내면화된다. ‘원초적 수치심’은 가정이나 사회에 의해 조장되기도 하며 이것은 완전성의 추구라는측면에서 일정한 대상을 구분 짓고 그들을 비정상적인 존재로 낙인찍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법이나 제도가 일반적인 보통의 시민을 위한 것이라는 측면으로 제정될 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 구성원의 이러한 ‘원초적 수치심’은 통제되어야 하며 ‘법과 제도’에서 이를 규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일반적인 수치심은 유가에서 수오지심(羞惡之心)이나 부끄러움[恥]으로 일컬어지는 것으로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게 되는 도덕 감정이다. 자신이나 타인의 잘못을 미워하고 부끄러워하는 감정이며 스스로 어떠한 행위를 할 때 영향을 미치는 인간 본연의 감정이다. 이런 부끄러움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인간다울 수 있으며 자각하고 반성하며 성찰을 통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존재인 것이다. 누스바움은 도덕 감정으로서의 수치심에 관해 인정하지만 사회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은 ‘원초적 수치심’이라고 보았다. 논자는 이러한 누스바움의 주장에 대해 유가의 수치심을 들어 반대의 입장을 표명했다. 그 두 가지 이유는 인간은 본성적으로 부끄러움을 지닌 존재라는 것과 스스로 자각하고 반성하며 성찰을 통해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주체적인 존재라는 점이다. 누스바움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으며 완전성의 회복을 위해 타인을 결여의 존재로 낙인찍는 여타의 존재로 설정했다. 이것은 인간이 자신이 스스로의 본성을 들여다보고 그것에 비추어 스스로를 개선・발전시킬 수 있는 주체적 인간이라는 측면을 소홀히 여겼다고 본 것이다. 유가적 측면에서 수치심은 단지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발생하는 타율적인 감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면적인 도덕심에 따르는 감정이다. 그러므로 수치심은 자기반성적 기능과 성찰의 기능을 가지며 좀 더 선한 본성에 따른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된다고 하겠다. 또한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는 감정이며 인간을 사랑하는 인(仁)한 마음에 근거하고있다고 본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two viewpoints on emotions called as shame or humiliation, that is, the shame generally known to us and “primitive shame.” Martha C. Nussbaum, a philosopher of ethics and law in America, in her book “Hiding from Humanity,” refers to “primitive shame” which most social members possess. Such shame, related with the desire that pursues to restoration to the ideal condition called as completeness in one’s fetal life, remains as insufficiency and incompleteness in one’s early childhood, consistently internalized. “Primitive shame,” often encouraged by one’s home or society, can be one of the reasons that, on the aspect of pursuit of completeness, distinguishes a certain targets from another, branding them as abnormal beings. In addition, it can influence on the law or institution when it is enacted for so-called common citizens. Therefore, such “primitive shame” of the social members should be controled and regulated by law and institution. General shame, called as shame-dislike of mind in Confucianism, is the moral emotion every one can own. It is the emotion that dislike or feel shame of one’s or others’ mistakes, influencing on one’s behavior as a natural human emotion. Because of such shame, one can do self-realization and self-reflection, making progress towards better direction. Although Nussbaum recognizes the moral emotions of shame, she argues that the shame which influences on the society is “primitive shame.” Compared with her assertion, the writer expresses the opposite meaning, based on the shame in Confucianism. There are two kinds of reasons for this: human being is by nature a shameful existence and an independent existence which can do self-realization and self-reflection, making progress through introspection. Excessively depending on the viewpoints of psychoanalysis, Nussbaum assumes the others are the existences of the rest, branding them those of the absences for restoration of completeness. This results in negligence of the fact that hu.man being is an independent existence which can do introspection, improving and developing oneself. On the aspect of Confucianism, the shame is not the heteronomous emotion occurring from the outside gaze, but the one from the intrinsic sense of morality. Therefore the shame has the function for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nd can be the driving force for the behavior of better human nature. In addition, it is the emotion everyone can have, based upon the benevolence that can love others.

목차

1. 서론
2. 원초적 수치심 - 누스바움의 수치심
3. 도덕적 기능의 부끄러움 – 유가의 수치심
4. 비교와 비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黃貞姬(Huang Jeong-hee). (2018).원초적 수치심과 도덕 감정으로서의 부끄러움 –누스바움과 유가의 수치심 비교-. 국제한국학저널, 4 , 65-88

MLA

黃貞姬(Huang Jeong-hee). "원초적 수치심과 도덕 감정으로서의 부끄러움 –누스바움과 유가의 수치심 비교-." 국제한국학저널, 4.(2018): 6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