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高)-대(大) 접속’과 복합적 전이

이용수 68

영문명
The High School-University Connection’ and the Integrated Transfer - Focusing on writing education for freshman from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ie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화선(Kim, Hwaseon) 조선영(Joe, Sunyou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4권 제2호, 61~7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그간 미국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의 범위를 넓혀 일본의 신입생 대상 글쓰기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국내 P대학교의 사례와 비교하며 바람직한 신입생 대상 글쓰기 교육(First-Year Composition, 이하 FYC)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본의 대학은 ‘국어력(國語力)’과 ‘일본어력(日本語力)’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대학 신입생이 고등학교까지의 배움과는 다른 ‘배움의 변환(재편성, 재체제화, 재조직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일본어로사고하는 능력인 ‘일본어력’을 키우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고(高)-대(大) 단절’을 극복하기위해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초년차교육(初年次敎育)을 ‘국어력’을 보충하려는 ‘국어 리메디얼교육’과 ‘대학생을 위한 일본어교육’이라는 두 방향으로 나뉘어 진행하고 있다. 일본의 대학들은 초년차교육이 ‘고-대 접속’의 차원에서 학습자들에게 대학 교육이 요구하는 일본어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한편 전공 영역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익히도록 함으로써 신입생과 신입생 이후를연결하는 문지방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 신입생 이전과 이후를 연계하는 FYC 교육은 글쓰기에 필요한 기술을 연마하는 차원에서 나아가대학에 입학한 학습자가 개별적 주체에서 사회적 주체로 성장하는 할 수 있도록 ‘복합적 전이’를 이끌어주는 문턱(Threshold)의 크로노토프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 즉 FYC 교육은 학습자가 자기의 삶을성찰하고 사회적 자아를 찾아갈 수 있는 성장의 계기를 제공하고, 개별적 주체가 사회적 위치를 찾아나가며 집단 정체성을 지닌 사회적 주체로서 자기 목소리를 찾아나가는 분기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P대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FYC 교육과 그 이후로 연계되는 글쓰기 교육과정은 학생이 공동체 안의 타자들과 공유하며 자신의 언어를 찾아나가도록 온라인 튜터링과 나섬인성인증제, 비교과 활동 등과 접목시킴으로써 복합적 전이를 도모하는 경계를 넘는 문턱을 제공하려는 시도를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합리성과 보편성이라는 이름으로 개인들을 파편화하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커튼을 걷고 사회적 자아로서 자신의 집단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성장의 여정이곧 글쓰기이므로 100명의 학생이 존재한다면 저마다 100개의 글쓰기를 실천해가는 ‘-되기(Becoming)’ 의 글쓰기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scope of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mainly with regards to US universities, examine the cases of wri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freshmen in Japan, compare it with cases in P universities in Korea, and to seek ways to build a desirable FYC (First-Year Composition) system. Japanese universities clearly distinguish between “national language ability” and “Japanese language ability.” Furthermor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to develop “Japanese language skills,” including the ability to think in Japanese, so that newcomers to college can follow the “transformation of learning” that is different from the learning that takes place in high school.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High School-University Disconnection,” FYC education for college freshmen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National Remediation Education to supplement “national language ability” and 2) Japanes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Concerning the former, first year education conducted by universities in Japan taught learners the Japanese knowledge required for university education in terms of the “High School-University Connection.” As for the latter, they were taught the ability to write academically in the field of their chosen major. Therefore, FYC education serves as a threshold for connecting high school graduates and university freshmen. (I’m not sure what you mean by “connecting freshmen and freshmen”) FYC, by linking the pre-and post-universities of college students, serves as a threshold chronotope that leads in the field of “integrated transfer” so that learners entering college can grow from taking individual subjects to social subjects, in addition to teaching the skills necessary for writing. In other words, FYC education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lives and to find their “social-self,” serving as a bifurcation in which individual subjects seek their voices as social subjects with collective identities. From this point of view, FYC education conducted by P universities and the writing curriculum linked to FYC are combined with online tutoring, the Nasum Personality Certification, and nonsubject activities in order to help students find their own language while sharing with others in the community. This will fin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ntains an attempt to provide a threshold beyond the boundary that promotes integrated transition. Writing is a journey of growth that lifts the curtain of dominant ideology that fragments individuals, while at the same time it advocates rationality and universality and establishes the writer’s collective identity as a social-self. If there are 100 students, they should aim for becoming writing that practices one hundred students writing.

목차

1. 서론
2. 초년차교육(初年次敎育)에 나타난 학습전이와 문지방의 역할
3. FYC 교육이 담당해야 할 ‘복합적 전이’와 문턱의 크로노토프
4.결론: N개의 글쓰기‘들’을 위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화선(Kim, Hwaseon),조선영(Joe, Sunyoung). (2020).‘고(高)-대(大) 접속’과 복합적 전이. 교양교육연구, 14 (2), 61-70

MLA

김화선(Kim, Hwaseon),조선영(Joe, Sunyoung). "‘고(高)-대(大) 접속’과 복합적 전이." 교양교육연구, 14.2(2020): 6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