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640

영문명
A Study on the Type of Transmedia Contents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남정은(Jung Eun Nam) 김희경(Hee Kyung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0호, 23~4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주목받고 있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관련 논의를 확대하기 위해 그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64편의 사례를 3가지 범주(시기별, 사용자 경험별, 목적별)에 근거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시기별로 보면 OSMU 콘텐츠와 공존 유무에 따라 통합형과 독립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 기준으로는 컨트롤과 콘텍스트를 축으로 소극적/가상 영역, 소극적/실재 영역, 적극적/가상 영역, 적극적/실재 영역 등 4개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목적별 유형은 기획 초기부터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제작 의도가 있었던 경우를 네이티브 트랜스미디어, 의도가 없었으나 점차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 발전한 경우를 프랜차이즈 트랜스미디어, 그리고 홍보와 마케팅 수단으로 제작한 경우를 마케팅 트랜스미디어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향후 국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개발 및 사용자 연구에 활발히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n order to expand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trans-media content that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today, to look at the concept and features three categories (time by the case of the 64 edition, the user another experience, based on the purpose-specific), it was attempted to typify. If we look at the contents focusing on periods, the transmedia contents are categorized into an integrated type and an independent type depending on their co-existence with OSMU and on a basis of user experience, the contents were divided into four domains, passive/fiction domain, passive/reality domain, active/fiction domain, active/reality domain using control and context criteria. Last but not least, in terms of grouping the contents on a basis of purpose depending on initial development intentions, the study first arranged the contents by these cases that they have early development intentions, that they have not such intentions as well as that they are used for promotion and in the end,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native transmedia contents, franchise transmedia contents and marketing transmedia contents.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for other profound researches on contents development, users and others.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 및 이론적 배경
3.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화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정은(Jung Eun Nam),김희경(Hee Kyung Kim). (2015).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0), 23-49

MLA

남정은(Jung Eun Nam),김희경(Hee Kyung Kim).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0(2015): 2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