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문화산업의 활성화

이용수 82

영문명
Storytelling, a Strategy to Activate Regional Cultural Industry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이효걸(Hyo Gul Lee)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0호, 189~20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야기가 일상적 삶에 필수불가결한 것은 진화론적 이유가 있다. 허구의 이야기는 일종의 가상현실 기술로서 실제의 위협을 직접 대면하지 않고 두뇌를 통해 시뮬레이션으로 대리 체험함으로써 생존의 방법을 터득하는 인간의 진화전략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일상적 삶은 문화소비를 늘여가고 있으므로, 문화산업도 점차 확장되어 갈 것이다. 일상적 삶이 스토리와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문화산업에서 스토리텔링이 중심적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당연하다. 지식의 공유가 제한적이었던 산업사회에서는 스토리가 지식의 흐름처럼 위에서 아래로 전이되었지만, 지식의 공유가 즉시적으로 실현되는 지식사회에서는 스토리의 생산과 소비가 쌍방향적으로 교류한다. 이것은 문화의 생산과 소비가 상호 교류되는 프로슈머 문화산업시대의 도래를 의미한다.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는 것은 세계적 차원에서 볼 경우에도 한국의 스토리시장, 특히 웹튠과 모바일게임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뉴미디어 스토리텔링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일상적 삶을 깨뜨리지 않고 이동하면서 문화를 소비할 뿐 아니라, 문화생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문화의 생성과 소비를 동시적으로 공유한다. 이러한 현상은 지방문화산업의 영역에서 그대로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지방문화산업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문화산업정책의 혜택이나 요구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기반의 문화소비시장의 새로운 흐름인 뉴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조응하면서 지역실정에 맞는 아이템을 개발하는 데 있다.

영문 초록

The indispensability of the a story in a daily life can be caused by the evolutionary approach. Fiction story, as a virtual reality skill, can be functioned as a human’s evolutionary strategy to acquire the survival techniques through the vicarious experiences by simulations in brain without facing the real threats. Considering that story is conjoined in our daily lives, storytelling may play a key role in the cultural industry. Although a story was transferred by top-down direction like as the flow of knowledge in the industrial society where knowledge sharing was limit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tory interact with each other in intellectual society where knowledge is shared at once. Namely, the era of prosumer taking part in both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cultural industry has come. Korean market, especially new media storytelling market such as webtoon and mobile game based on the smart phone, are leading the era of prosumer in cultural industry at the global level. Without interrupting daily lives, the prosumers participate in culture production as well as consume culture in motion. Consequently, an appropriate strategy to activate regional cultural industry would be corresponding new media storytelling regarded as new trend in mobile-based cultural consumer market and developing the items necessary to the regional circumstances, rather than adopting needs from the policies in cultural industry.

목차

국문요약
1. 일상적 삶과 이야기
2. 문화산업에 있어서 스토리텔링의 위상
3. 프로슈머 문화산업시대의 도래와 뉴미디어 스토리텔링
4. 현재 지역문화산업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효걸(Hyo Gul Lee). (2015).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문화산업의 활성화. 글로벌문화콘텐츠, (20), 189-208

MLA

이효걸(Hyo Gul Lee).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역문화산업의 활성화." 글로벌문화콘텐츠, .20(2015): 189-2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