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데의 페모로 광산 센터를 통해 본 에코뮤지엄의 현재적 의미

이용수 101

영문명
A Study on Manifest Significance of Ecomuseums through the Faymoreau Mining Center in Vendée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배은석(Eun Sok Bae)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0호, 73~9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의 박물관은 다양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따른 새로운 현상들의 복합적인 양상을 박물관의 영역 안으로 수용하면서 신박물관학을 도출해낸다. 그 가운데 에코뮤지엄은 지역 공동체를 전제로 하여 지역 전체를 박물관으로 보는 개념이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페모로 광산센터(Centre minier de Faymoreau)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환경의 관계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광산센터에는 지난 날 광산업의 역사와 광부들의 삶, 여가생활, 유리 제조 공장 사업으로 인한 지역 경제의 활성화 등을 보여주는 기록물, 유물, 영상자료, 사진, 패녈 등이 전시되어 있다. 상설전시 외에도 다양한 기획전과 이벤트가 진행되는데, 특히 2014년도 2월부터 8월까지 진행된 「냉포르트쿠아(Nainportekoi)展」은 지역의 예술가들의 참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 전시는 광부라는 직업을 북유럽 신화 속의 난쟁이의 관점에서 해석한 새로운 시도이다. 그 외에도 역사, 문화, 지질학, 예술학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지역의 학생들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지역공동체를 전제로 하여 인간을 포함한 자연ㆍ생태와 산업을 포함한 문화ㆍ유산을 모두 아울러서 특정 유산 지역을 뮤지엄의 범주로 지정하고 지역 전체가 유기적으로 구성되며 주민이 자발적으로 운영에 참여한다는 특징을 갖는 에코뮤지엄의 전형을 보여준다. 에코뮤지엄은 주민 스스로 자긍심을 갖고 지역의 역사를 이해하며 이를 타인에게도 제시하는 거울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환경과 지역사회, 박물관의 관계에서 구심체의 역할을 하는 페모로 광산센터의 활동은 지역공동체의 기억과 산업유산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전시하며, 후손에게 전승ㆍ교육한다. 또한 지역의 건설을 위해 희생한 사람에 대한 경외감을 갖고 그 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키기 위한 다각도의 시도를 한다. 이들의 행보는 신박물관학의 시대에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에코뮤지엄의 현재적 의미를 가르쳐준다.

영문 초록

A contemporary museum accommodates the complex aspects of the new phenomenon of the social changes and demands in various areas of the museum that derive from the New Museology. Ecomuseu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ity and environment issue. The Mine Museum constructed in the Mining Center. Here, documentaries, artifacts, video materials, pictures, and panels that show the history of mining business, the lives and leisures of the miners, and invigoration of economy from the glass manufacturing business are exhibited. In particular, the ‘Nainporteko’ exhibition displayed from February to August 2014 is an example which attempted to round up all the local artists in regards to mines, myths, miners, and art. The ecomuseum plays the role of a mirror which reflects regional history, allowing local residents to take pride in their region and other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region. The Mining Center that plays the major role for the environment and community collects and exhibits regional industrial heritage and passes it on to descendants. It takes attempts at various angles for sublimating the spirits of the people who sacrific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gion with respect. Its activities teach us the manifest significance of ecomuseum that contributes to the community in this new era of museology.

목차

국문요약
1. 신박물관학과 에코뮤지엄
2. 환경, 지역사회 그리고 박물관의 관계성
3. 맺음말 : 에코뮤지엄의 현재적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은석(Eun Sok Bae). (2015).방데의 페모로 광산 센터를 통해 본 에코뮤지엄의 현재적 의미. 글로벌문화콘텐츠, (20), 73-98

MLA

배은석(Eun Sok Bae). "방데의 페모로 광산 센터를 통해 본 에코뮤지엄의 현재적 의미." 글로벌문화콘텐츠, .20(2015): 7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