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몰입형 디지털 전시의 예술교육적 기능 분석

이용수 1284

영문명
Analysis of Arts Educational Function of Immersive Digital Exhibition: Case of ‘Bunker de Lumières’ in Jeju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임동욱(Dong-uk Im) 이창훈(Chang-Hoon Lee)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39호, 130~158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5.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대적 흐름과 사회의 변화로 그 기능을 상실하거나 용도변경이 필요한 유휴공간을 되살려 재생공간으로 변화시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은 특히 문화예술을 소재로 한 공용공간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올든버그는 이러한 ‘제3의 장소’가 공동체의 결속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재생 작업을 통해 되살아난 문화예술 매개공간은 고유의 장소성을 가지고 있어서 재생의 가치가 크다. 2012년에 시작된 프랑스 ‘빛의 채석장’은 2018년에 파리 ‘빛의 아틀리에’와 더불어 우리나라 제주 ‘빛의 벙커’로 확대되었다. 유휴공간 중 폐산업시설을 몰입형 디지털 전시관으로 탈바꿈시킨 이 시리즈는 아미엑스(AMIEX)라는 시청각 연속성 기반의 몰입형 전시 기술 덕분에 매년 수많은 관광객들 불러들인다. 예술교육 특히 순수미술 교육에서는 자발적인 내향적 몰입을 발생시키기가 쉽지 않으므로, 디지털 전시를 이용해 감각적인 외향적 몰입을 유발해서 호기심과 관심을 증폭시키는 전략이 유효하다.

영문 초록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idle space is revived and transformed into a regenerated space. Idle space means a location which lost its function due to changes in the era and society, or which needs to change its usage. This space is often used as a common space, especially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Oldenberg argued that this “third place” would help raise community ties. The regenerated space as arts mediating center has a high value because of unique place identity. The “Carrières de Lumières” in France, which was launched in 2012, was expanded to the “Bunker de Lumières” in Jeju, Korea, along with “Atelier des Lumières” in Paris. This series of regenerated idle spaces transforming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nto immersive digital exhibitions attracts hundreds of thousands of tourists each year, thanks to immersive technology based on audio-visual continuity by AMIEX system. In arts education, especially fine arts education, it is not easy to induce voluntary inward engagement as flow.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amplify users’ curiosity and interest by using digital display and stimulating sensory outward engagement as immersion.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재생공간의 문화예술적 활용
2. ‘빛의 채석장’ 시리즈의 장소성 존중
3. 몰입형 전시의 예술교육적 활용
4. ‘빛의 벙커’ 전시의 복합적 감각 자극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동욱(Dong-uk Im),이창훈(Chang-Hoon Lee). (2019).몰입형 디지털 전시의 예술교육적 기능 분석. 글로벌문화콘텐츠, (39), 130-158

MLA

임동욱(Dong-uk Im),이창훈(Chang-Hoon Lee). "몰입형 디지털 전시의 예술교육적 기능 분석." 글로벌문화콘텐츠, .39(2019): 130-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