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근대 문예활동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정립 양상

이용수 55

영문명
Establishment Patterns of National Discourse in Modern Literary Activiti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저자명
김호연(Ho-Yoen Kim)
간행물 정보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세계역사와 문화연구 제54집, 57~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 근대 문예활동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정립 양상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안확, 윤백남, 심훈을 통해 그들이 어떠한 근대담론을 형성하며 실천적 언술 행위로 이어졌는지에 집중하여 보았다. 안확은 『조선문학사』, 『조선문명사』 등의 사적 정리를 통해 민족의식을 담론화 하였고, 윤백남은 야담운동을 통해 민족문화의 대중적 확산을 꽤하였으며, 심훈은 소설, 시, 영화에 걸치는 다양한 장르를 통해 민족의식을 드러내었다. 이들은 모두 다양한 관점과 대상을 통해 민족담론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었다. 이들의 언술은 계몽적 측면이 강하였지만 미적 근대성의 성취를 위해 민중에게 가장 적합하고 포용적인 실험을 거듭하였다. 이는 대중지향의 자유주의적 시각 속에서 다양한 담론을 양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개념적 민족담론 형성이 아닌 미적 근대성의 인식을 통한 실천적 양상이었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한국문화의 유연성과 근대 민중지향의 사회통합의 의지를 드러낸 점에서도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patterns of national discourse in modern literary activities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formation of modern discourse by Ahn Hwak, Yun Baek-nam, and Sim Hun within their category and their resulting practical enunciative operations. Ahn Hwak arranged history books such as The Literary History of Joseon and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n Joseon, turning national consciousness into discourse. Yun Baek-nam worked on the popular spread of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historical romance movement. Sim Hun also made pioneering achievements by establishing national discourse anew in multi-angled viewpoints, showing national consciousness across diverse genres including novels, poetry, and movies. All of them established and practiced a range of theories based on national discourse. When various cultures clashed in the modern times, they made flexible reactions to the times and made pioneering achievements to hold their own significance. Their enunciative operations are also noteworthy as they adopted the liberalist viewpoint of open thinking and produced various works of discourse across many different genres despite their reputation in their respective fields. They took a centrist position in their whereabouts. Even though they delved deep into a field, they managed to achieve consilience by crossing various fields of study. Their works thus became a foundation for the modern culture of Korea, which adds more significance to these figures. It is also worth doing research on them as they had determin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nd left pioneering achievements during the period of modern acculturation.

목차

I. 서언
II. 민족의식의 발현에 대한 세 가지 방식
III.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연(Ho-Yoen Kim). (2020).한국 근대 문예활동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정립 양상.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54 , 57-78

MLA

김호연(Ho-Yoen Kim). "한국 근대 문예활동에 나타난 민족담론의 정립 양상." 세계역사와 문화연구, 54.(2020): 57-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