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옹성철의 보조지눌 사상의 비판과 두 사상의 공통점

이용수 131

영문명
Seongcheol s Criticism of Jinul s Thought and a Common Point of Two Thought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이병욱(Lee, Byung Wook)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56輯, 77~11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퇴옹성철이 보조지눌의 사상을 비판한 것을 살펴보고, 그렇지만 이 두 사상의 공통점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성철이 지눌사상을 비판한 것을 검토한다. 성철은 지눌의 초기사상은 돈오(해오)점수를 옹호하는 것이고, 유고집 『간화결의론』에서는 간화선을 강조하기는 하지만, 이것이 순수한 선의 관점이 아니고 화엄선(華嚴禪)이고 외선내교(外禪內敎)라고 비판한다. 그런데 성철은 『자기를 바로 봅시다』에서는 간화선 이외의 수행도 수용하고 있다. 이런 내용을 주장하게 되면, 성철이 지눌의 사상을 엄격하게 비판한 것에 의문이 생긴다. 3장에서는 지눌사상과 성철사상의 공통점을 검토한다. 그 공통점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 두 사상 모두 선교일치를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눌은 두 가지 방식의 선교일치를 말하고 있고, 성철은 선종과 교종에서 중도를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선교일치의 맥락을 제시한다. 둘째, 간화선을 선양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눌은 무자화두 십종병을 제시하면서 간화선을 선양하고 있고, 성철도 간화선 수행은 3단계(동정일여, 몽중일여, 오매일여)를 거쳐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간화선을 선양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통점이 있지만, 이러한 공통점 속에서도 차이점도 존재한다. 첫째, 성철이 선교일치의 맥락을 말하면서도 교종은 방편이고 삿된 종파라고 비판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비판하면 앞의 선교일치의 맥락도 그 의미를 상실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공통점을 드러내기 위해 이러한 비판을 분리해서 접근하였다. 둘째, 지눌은 간화선을 선양하면서도 돈오(해오)점수의 수행을 인정하고 있는 데 비해서 성철은 지눌의 이러한 점을 철저하지 못하다고 비판하고 있는 점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will study that Seongcheol criticizes the thought of Jinul and the thought of Jinul and Seongcheol have a common point. In chapter two, I study that Seongcheol criticizes the thought of Jinul. Seongcheol criticizes that the first stage of Jinul s thought advocates sudden enlightenment(understanding and awakening) and gradual cultivation, and that in Resolving Doubts on Observing the Hwadu(看話決疑論), Jinul emphasizes phrase-observing meditation(看話禪), but this is not the viewpoint of real zen but huayen s zen. By the way, in Look Right at the Self, Seongcheol admits different practice in addition to phrase-observing meditation. If so, we are questioned that Seongcheol criticizes the thought of Jinul strictly. In chapter three, I study a common point of Jinul and Seongcheol s thought. A common point is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Two thought have unity of the meditation and doctrinal schools(禪敎一致). Second, Two thought have the point to raise phrase-observing meditation. Like this, two thought have two common point, but two thought have two different point in the common point.

목차

Ⅰ. 서론
Ⅱ. 퇴옹성철의 보조사상 비판과 방편의 인정
Ⅲ. 보조 사상과 성철 사상의 공통점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욱(Lee, Byung Wook). (2020).퇴옹성철의 보조지눌 사상의 비판과 두 사상의 공통점. 보조사상, 56 , 77-112

MLA

이병욱(Lee, Byung Wook). "퇴옹성철의 보조지눌 사상의 비판과 두 사상의 공통점." 보조사상, 56.(2020): 77-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