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의 언어 정책과 대중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양 사업

이용수 696

영문명
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Crime Prevention Educ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by Security Police
발행기관
북한학회
저자명
전영선(Jeon, Youngsun) 김지니(Kim, Jini)
간행물 정보
『북한학보』北韓學報 第44輯 1號, 153~18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남북 분단 시간이 70년을 넘기면서, 분단 현상이 고착되고, 문화적 이질화가 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정치 제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사유체계, 인식체계의 차이는 일상과 언어 영역에도 작동하였다. 정치의 분단이 문화의 분단으로 이어지고 있다. 남북의 언어가 달라진 것은 생활환경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일상에서 생활하는 환경이 달라지면서 남북의 언어, 언어문화도 달라졌다. 남북의 언어가 달라진 것은 생활환경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일상에서 생활하는 환경이 달라지면서 남북의 언어, 언어문화도 달라졌다. 대면적인 접촉이 줄어들면서 우리의 언어는 공식화된 언어, 언어의 예절 중심으로 달라졌다. 북한의 언어는 직설적이다. 말에 대해 상당한 신뢰와 권위를 부여한다. 남한이 문서를 기준으로 하는 사회라면 북한은 말을 기본으로 하는 사회이다. 최근 들어 북한의 언어도 변하고 있다. 시장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일률적인 조직체계가 변화되면서 언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개인성이 늘어났고, 핸드폰의 확산도 한 원인이다. 남북언어의 소통을 위해서는 일상에서 진행되는 언어문화에 대한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language of the north and south has been changed in each terrains. As the time for the division of the South and North has exceeded 70 years, the division phenomenon is fixed and cultural heterogeneity is progressing with increasing speed. Differences in system of thinking and recogni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he political system also are worked in the daily life and the language area. The division of politics leads to division of culture. The reason why the language of the north and south has changed, which appeared in the the changed living environment. As the environment in daily life changes, so culture of language is different between North and South . As the face-to-face contact diminishes, our language has changed to formalized and perfuntory language. The language of North Korea is straightforward. It is given considerable trust and authority to the language. South Korea is a document-based society, while North Korea is a several description- based society. Recently, the language of North Korea has changed. As the marketplace have a higher percentage in the economy, so changes standardized system, which also has affect language. Personality has been increased, and it is caused by the popularization of cell phones. For communicative l language situation between north e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study the culture of language that is going on in daily life

목차

Ⅰ. 분단과 언어문화
Ⅱ. 북한의 언어관과 언어 정책
Ⅲ. 북한의 언어 문화
Ⅳ. 북한의 언어문화와 대중매체를 통한 교양 사례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선(Jeon, Youngsun),김지니(Kim, Jini). (2019).북한의 언어 정책과 대중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양 사업. 북한학보, 44 (1), 153-189

MLA

전영선(Jeon, Youngsun),김지니(Kim, Jini). "북한의 언어 정책과 대중매체를 활용한 언어 교양 사업." 북한학보, 44.1(2019): 153-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