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 체제의 핵정책 재인식

이용수 227

영문명
Revisiting the Nuclear Policy of the North Korean Regime
발행기관
북한학회
저자명
박헌옥(Park Hun-Ok)
간행물 정보
『북한학보』北韓學報 第44輯 1號, 5~53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는 그동안 우리가 북핵불용 원칙하에 부단히 경주한 북한 비핵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북핵 위협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북한 체제의 핵 정책에 대한 오인식 때문이라는 가설에 따라 오인식 부분을 바로잡고 재인식을 통하여 한반도 안보에 도움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은 1991년 9월, 160번째 유엔 회원국이 되었으나, 유엔헌장 제1조, ‘국제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려는 목적’과 세계 핵비확산체제(NPT)를 이탈하여 비밀리에 핵무기 개발에 매진했다. 북한의 핵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유엔과 미국 등 국제사회가 지난 26년 동안 외교적 협상, 군사적 압박, 경제적 제재 노력을 기울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비핵화에 성공하지 못한 것은 북한의 핵 정책을 오인식한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북한의 핵정책 중 우리가 오인식 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규명해야 올바른 대북인식의 바탕위에 실질적인 북한 비핵화 정책을 세울 수 있다는 관점에 따라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의 핵 정책을 살펴 재인식 방향을 도출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① 북한의 핵 정책은 대남적화전략 목표 하에 3대에 걸쳐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는 점, ② 북한은 일관된 핵정책을 추진하면서도 대내. 외적 상황변화에 대처하면서 정책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함으로 정책 변화의 신호로 오인하게 만들었다는 점, ③ 북한의 핵 개발 목적은 체제생존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대내통제, 대남위협, 대미협상 용으로 활용해 왔다는 점, ④ 대남 적화통일을 위해서는 통미봉남, 한미갈등, 남남갈등 조장이 필요하며, 한일관계 악화와 한미일 3국 공조체제 이완을 획책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 비핵화는 어설픈 강압이나 유화책으로는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과 북한의 일방적 핵위협에 노출되는 한 한국안보는 불안의 연속일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핵은 핵으로만 억제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핵 억제와 핵 방어 방책을 철저히 강구해야 한다. 한미동맹 강화로 핵우산과 확장억제를 구체화하는 것이다. 결국 북한은 조선로동당의 적화통일 목표 달성과 체제생존, 그리고 인민생활 향상 등 세 마리의 토끼를 잡기위해 핵 포기는커녕 핵 무기고를 늘려 협상력제고에 노력할 것이다. 그러므로 단기간에 북한 비핵화 실현은 어렵다고 보고 강.온 양면책, 자주.동맹의 조화, 완.급 조절 등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전략하에 북한 비핵화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그동안 유엔의 대북제재, 미국의 경제제재와 군사적 무력시위, 한국의 대화와 지원 등으로 북한 비핵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 것은 오산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는 것이 핵 보유보다 더 유리하다는 것을 더욱 확실히 깨달을 수 있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by correcting the misperception of the nuclear policy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revisiting it. Ignoring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NPT) and staging the world’s first act of withdrawing from it (Mar. 12, 1993) →waiving withdrawal (Jun. 10, 1993) → eventually withdrawing (Jan. 10, 2003), North Korea has since remained uncommitted to the NPT. And having announced its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through it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n Feb. 10, 2005, carrying out six nuclear tests, and its development of ICBM that can hit the mainland United States, North Korea threatens the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gional stability in Northeast Asia, and world peace. Assuming that misunderstanding the nuclear policy of the North Korean regime has led to the failu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 and the US to denuclearize North Korea despite its efforts for last 26 years including diplomatic negotiations, military pressurizing, and economic sanctions with a view to eliminating the nuclear threat from North Korea,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areas that have to be revisi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nuclear policy of Kim Il-sung, Kim Jong-il, and Kim Jong-un.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m Il-sung was tapped as the leader of North Korea following the national liberation of Korea because he was expected by Stalin to fit the Soviet Union’s pursuit of its interests. Second, Kim Il-sung built the basis for nuclear development right after the Korean War, because he suffered from the threat of the US’ use of nuclear weapons during the war and he was preoccupied with nuclear development with the aim of destroying the ROK-US alliance as he believed that future unification of Korea would need ROK-US disconnection including the withdrawal of the US forces from South Korea. Third, Kim Jong-il flaunted his Songun ‘ ( military first’) policy and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to prop up his vulnerable power inherited from his father, broke up the nuclear agreement with the US, and carried out two tests by providing a spur for nuclear development. Fourth, Kim Jong-un, who declared the completion of the nuclear force through the four nuclear tests, now uses it as his negotiating power in terms of politics, military, and economy. Citing the continued US sanctions against it, North Korea keeps jolting the partnership of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by frequently launching its short-range ballistic missiles. Fifth, the ultimate goal in North Korea’s strategy for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obviously lies in a Communist reunification of the peninsula. Therefore, half-baked economic sanctions or military threats are not going to change North Korea’s nuclear policy by a long shot, and North Korea won’t give up its nukes without being offered satisfactory compensation. Sixth, plans to use the US tactical nuclear weapons by applying the NATO plan with necessary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by focusing on the principle that ‘ nukes can be deterred with nukes only’. And in addition to nuclear deterrence, nuclear defense has to be provided. Seventh, North Korea has succeeded in increasing the quantity of nuclear weapons in its possession by fixing the US as a party to nuclear negotiation and protracting it. Looking ahead, North Korea will try to take the lead on the issu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direct talk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while strictly keeping South Korea out of the denuclearization talks down the road.

목차

Ⅰ. 서론
Ⅱ. 김일성 시대 핵정책
Ⅲ. 김정일 시대 핵 정책
Ⅳ. 김정은 체제의 핵 정책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헌옥(Park Hun-Ok). (2019).북한 체제의 핵정책 재인식. 북한학보, 44 (1), 5-53

MLA

박헌옥(Park Hun-Ok). "북한 체제의 핵정책 재인식." 북한학보, 44.1(2019): 5-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