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교육모델의 진단과 방향

이용수 93

영문명
Diagnosis and Direction of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al Model: Based on the Courses and Effect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혜영(Kim, Hye-young) 이숙정(Lee, Sook-Jeo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6권 제4호, 11~4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량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역량교육의 구성요소들을 체계화 시킨 모델을 분석함으로써 역량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장점과 한계점을 제시하고, 대학에서 시행할 수 있는 보다 나은 역량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S여대의 역량교육모델을 기준으로 역량교육의 현황을 역량교육과정과 역량진단, 그리고 역량교육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진단한다. S여대의 경우, 역량교육과정은 기본교육, 보완교육과 심화교육으로 나뉘어져 운영되고 있으며 그 교육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역량진단이 단계별로 이루어지고 있다. S여대의 역량교육은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역량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행하고 있으나 그 효과를 관리하고 측정하는 데 있어서는 일부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역량교육이 궁극적인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그러한 측면에서 현재의 역량교육의 평가는 제대로 수립되어 있는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더 바람직한 방법은 없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역량교육의 효과는 궁극적으로 대학생들이 향후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여 사회생활 및 조직생활을 하게 될 때 비로소 나타나게 된다. 즉,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자신들의 역량을 발휘하고 그 결과로 좋은 성과를 얻게 될 때, 그것이 진정한 역량교육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의 여건상 역량교육의 효과를 장기적으로 추적 분석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대안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의 역량교육모델이 추구해야 하는 방향성과 보완해야 하는 요소들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찾아내고, 역량교육모델의 개선방향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eal limitations and benefits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while preserving analysis of respected education model. The research also suggests a way of composition in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The research takes a look at current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S-Woman’s University using of competence-based educational model concentrating on competence curriculum, diagnosis, and effect.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educational goal,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effects of educat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extension of the issue that how the educational organizations leverage monitoring methodology. The effects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re enlightened in maximize manner when the students explore their career. Thus, the meaning of competence curricular lies whether the students efficiently perform their capabilities in a proper way. However, it is difficult for university to track down these competences because of various latent environmental situations. To overcome it, this research provides some alternative idea analyzing the effects of curriculum. Through this research, we wish universities can find needed components of competence-based educational model and establish ideological foundation to enhance their existing competence-based cours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역량교육의 현황 및 진단: S여대 역량교육모델을 기준으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영(Kim, Hye-young),이숙정(Lee, Sook-Jeong). (2012).역량교육모델의 진단과 방향. 교양교육연구, 6 (4), 11-40

MLA

김혜영(Kim, Hye-young),이숙정(Lee, Sook-Jeong). "역량교육모델의 진단과 방향." 교양교육연구, 6.4(2012): 1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