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계명대학교 <전공글쓰기>의 교수법 개발을 위한 운영과정 분석 및 제언

이용수 52

영문명
Analysis and Suggestions of Operating Curriculum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s of in Keimyung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숙(Lee Eun Sook) 기도형(Dohyung Kee) 박창일(Chai seong kon) 이은숙(Chang-il Park) 최성곤(Eun-Sook L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9권 제4호, 315~34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계명대학교의 <전공 글쓰기>의 개설과 정착 및 확산의 과정을 살펴보고 <전공 글쓰기>의 더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글쓰기 교수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전공 글쓰기>의 운영단계를 2013년의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인식의 단계, 2014년의 <전공 글쓰기>의 수업사례 분석을 통한 구체화 단계, 2015년의 <전공 글쓰기 코칭 다이어리> 교수커뮤니티의 활동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먼저, 2013년의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인식의 단계’에서는 2번의 워크숍과 <전공 글쓰기> 표준강의안 개발에 대해 살펴보았다. 워크숍에서는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표현력 클리닉과의 연계’ 등에 대해 많은 질의응답이 오고갔으나 아직은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교수법, 강의 콘텐츠 등에 대해 많은 교수들이 분명한 개념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었다. 두 번째, 2014년의 ‘<전공 글쓰기>의 수업사례 분석을 통한 구체화 단계’에서는 2014년 2학기에 개설한 <스포츠마케팅학과>, <태권도학과>, <국제통상학과>의 전공 글쓰기 사례를 발표하였다. 이런 수업 사례 발표는 <전공 글쓰기>의 수업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도입부의 수업 시연까지 함으로써 <전공 글쓰기>를 앞 둔 교수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했다. 담당교수들에게는 전공 컨텐츠보다는 글쓰기 교수법에 대한 콘텐츠가 더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던 워크숍이었다세 번째, <전공 글쓰기 코칭 다이어리> 교수커뮤니티의 활동 단계에서는 <전공 글쓰기> 수강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전공 글쓰기>의 향후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설문결과 담당교수들은 이 강의가 타 강의에 비해 아주 힘든 강의라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글쓰기 관련 강좌의 중요성 때문에 책임감을 느껴 강의를 맡았으며, 강의 콘텐츠 개발을 가장 힘든 것으로 밝혔으며, 글쓰기 담당교수들과의 협업을 제의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전공인으로서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표현능력, 전공 관련 취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았다는 의견을 보여주고 있었다. 담당교수와 수강학생 모두 이와 같은 강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공 글쓰기의 성공적인 운영 및 정착을 위해서는 첫째, 규칙적인 교내 전체 워크숍을 통해 글쓰기 교수법의 확산을 도모할 필요하기 있다. 둘째, 계열별 전공 글쓰기의 모형을 따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과제를 출제할 때 중간고사를 전후하여 학생들의 과제의 숫자보다는 깊이에 주목하는 것이 좋다. 넷째, 과제를 출제할 때는 미리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평가기준이 주관적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는 것이 좋다. 다섯째, 강의소재발굴의 어려움은 해당학과 전공 교수님들께서 공유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 다양한 강의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전공 콘텐츠외 글쓰기 어문규정에 대해서는 표현력 클리닉의 도움을 받는 것이 효율적이며, 표현력 클리닉에 학생들을 보낼 때는 미리 튜터에게 지침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어문 규정 외에도 대학생에게 꼭 필요한 논증 글쓰기에 대한 개념을 주지시키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mis to examine a settlement and spread in in Keimyung University and develop better teaching methods of writing and operating scheme. The operating scheme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 conceptual recognition sage of in 2013, an embodiment stage of through analysis of cases of class in 2014, and an activity stage in 2015. First, the development of syllabus was conducted in an conceptual recognition sage of . There exist a number of questions about the concept of , association with , methods of teaching, and contents of the lecture; however, professors did not understand the definite conception of them. In the second stage, an embodiment stage of through analysis of cases of class in 2014, the cases of were presented in department of , , and in fall semester, 2014. It was to give opportunities to propose directions of class operation through a demonstrative lesson in an instruction part and to learn that teaching methods of writing is more crucial than contents of major. In the last stage, an activity stage in 2015 endeavors to devise plans for the future by conducting surveys with students and professors of . The professors appreciate the writing class was grueling compared to other classes and importance of writing made them take charge of the classes. The professors also found that development of lecture contents was the most difficult and suggested the cooperation with instructors in teaching writing. Students recognised that they had benefits in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eking for a job.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greed to the necessities of .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 a regular workshop of teaching writing on campus is essential. Second, it is important to research suitable models of writing according to majors. Third, assignments should be focused on the depth, not the numbers of them. Forth, objective assignment criteria must be presented to the students. Fifth, materials for the class or writing could be abundant if the teachers share their ideas. Sixth, the way students learn to write other than could be assisted by tutors in and the professors let tutors know the students’ visits in advance. Lastly, it is imperative for students to study logical writing fo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o grammatical rules and practice writing.

목차

1. 머리말
2. <전공 글쓰기>의 개념 및 필요성 인식의 단계
3. <전공 글쓰기>의 수업사례 분석을 통한 구체화 단계
4. <전공 글쓰기 코칭 다이어리> 교수커뮤니티의 활동 단계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숙(Lee Eun Sook),기도형(Dohyung Kee),박창일(Chai seong kon),이은숙(Chang-il Park),최성곤(Eun-Sook Lee). (2015).계명대학교 <전공글쓰기>의 교수법 개발을 위한 운영과정 분석 및 제언. 교양교육연구, 9 (4), 315-340

MLA

이은숙(Lee Eun Sook),기도형(Dohyung Kee),박창일(Chai seong kon),이은숙(Chang-il Park),최성곤(Eun-Sook Lee). "계명대학교 <전공글쓰기>의 교수법 개발을 위한 운영과정 분석 및 제언." 교양교육연구, 9.4(2015): 315-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