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에 관한 범주화 연구

이용수 325

영문명
A Classifying Study on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최은영(Eun-Yeong Choi) 주상욱(Sang-wook Joo) 이영숙(Young-Sook Lee) 박혜정(Hye-Jeong Park) 손은경(Eun-Kyung Shon)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4권 제1호, 27~4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을 범주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D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도시각장애인 10명이다.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진술문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중도시각장애인의 장애 적응 도움요인에 대한 핵심문장은 최종 67개로 정리되었다. 이를 각각 카드로 제작한 후, 연구참여자가 각 카드를 유사한 문항끼리 분류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에 도움이 되는 요인은 개념도 상 2차원 7군집으로 범주화되었다. 2개의 차원 중 1은 ‘개인’ 대 ‘집단’으로 명명하였고, 2는 ‘심리적 자원’ 대 ‘사회적 자원’으로 명명하였다. 이 두 개의 축 안에서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은 ‘사회활동을 통한 자기효능감’, ‘특수교육에서의 진로·재활과정교육’, ‘자조집단으로부터의 도움’, ‘시각장애인과의 관계를 통한 장애 관점 변화’, ‘마음돌보기’, ‘가족·주변인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종교활동과 적응적 대처행동’의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을 당사자를 통해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개입방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assify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The participants were 10 acquired visual impairments living in D City. An analysis on the statements, submitted by the study participants, through concept mapping has summarized a total of 67 key sentences on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to their loss. 67 cards on which each of the sentences was written, allowing study participants to classify the each card into similar questions. In the case of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ing were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were categorized as seven clusters in two dimensions on concept mapping. One of the two dimensions was named ‘individual’, ‘group’, and the other was named ‘psychological resources’, ‘social resources’. In the two axes,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were classified into seven clusters: ‘self-efficacy through social activities’, ‘career and education about rehabilitation processes in special education’, ‘help from self-help groups’, ‘changes in perspectives on disability through relationships with the visually impaired’, ‘caring for one’s own mind’,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and neighbors’, and last, ‘religious activities and adaptive coping behavi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making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themselves classified and categorized helpful factors for their adaptation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an understanding of practical and direct intervention metho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영(Eun-Yeong Choi),주상욱(Sang-wook Joo),이영숙(Young-Sook Lee),박혜정(Hye-Jeong Park),손은경(Eun-Kyung Shon). (2020).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에 관한 범주화 연구. 재활복지, 24 (1), 27-47

MLA

최은영(Eun-Yeong Choi),주상욱(Sang-wook Joo),이영숙(Young-Sook Lee),박혜정(Hye-Jeong Park),손은경(Eun-Kyung Shon).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에 관한 범주화 연구." 재활복지, 24.1(2020): 27-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