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平壤城發掘의 成果와 課題

이용수 107

영문명
Retrospect and Prospect of Pyeongyangseong Castle Excavations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崔鍾澤(Choi, Jongtaik)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45집, 62~85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27년 평양으로 천도한 고구려는 양원왕 8년(552년)에 장안성을 축조하기 시작하여 평원왕 28년(586년)에 완공하여 장안성으로 도성을 옮기게 된다. 장안성은 일반적으로 평양성을 불리며 조선시대까지 그 형태를 대체로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급격히 훼손되었고, 이후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모란봉 일대의 북성과 내성 및 중성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본래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와 북한정권 수립 이후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평양성에 대한 고고학적인 조사가 일부 이루어졌으나 조사지점이 극히 일부 지점에 국한되어 있어서 연구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실시된 평양성에 대한 발굴조사의 내용과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의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1930년대 모란봉 남단의 만수대 일원에서 대형 문지와 대형 건물의 회랑이 조사되었으며, 구정리 일원에서 공사로 인해 파괴된 외성 서남쪽 모서리 성벽 단면이 보고되었다. 이상의 조사는 개발공사에 수반된 긴급조사로서 조사 기간과 방법 등 매우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평양성 내부의 건물지에 대한 유일한 조사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가진다. 1950년대 이후 시가지 개발과정에서 일부 긴급조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993년에는 중성과 외성 일부 지점에 대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고구려 이전 고조선 시기의 유적을 찾는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2011년에도 외성 성벽에 대한 발굴조사가 있었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중성과 외성의 성벽은 국내성이나 남한지역의 고구려 성과 같은 토심석축기법으로 축조된 것이 밝혀지는 등 새로운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성벽 단면도 등 제시된 자료가 거칠고 불분명한 점이 있어서 성벽의 축조 방법이나 시기를 파악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평양성은 모란봉 일대의 산지에서 평천구역의 평탄지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을 둘러싼 규모가 큰 성이며, 북성과 내성·중성·외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이다. 때문에 구간별로 서로 다른 기법으로 성벽을 축조하였으며, 축조 시기도 서로 다를 것이다. 발굴조사 외에 각자성석의 분석을 통해 축조 시기를 규명하기 위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성벽에 대한 정밀한 발굴조사가 가장 요구되는 측면이다. 현존하는 성벽과 문루 등의 시설물의 경우 고구려 시기는 물론 후대에 개축된 것이 상당한데, 이에 대해서도 자세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내성에 위치할 것으로 생각되는 궁전지를 비롯한 성내의 다양한 시설물과 도시구획과 관련된 도로 시설 등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영문 초록

After relocating its capital to Pyeongyang in 427, Koguryo built the Janganseong Castle between 552 and 586 as a new capital castle. Usually called the Pyeongyangseong Castle, this castle seems to have been hardly modified in its general structure until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War, and the urbanization of North Korea, however, it was destroyed to such an extent that only part of its northern, inner, and middle castles are recognizable. In the course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urbanization of North Korea, some archaeological surveys of this castle were conducted. Nevertheless, they were restricted to a very small part of the castle, resulting in major limitations in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astle. In view of this, the results of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s so far are examin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In the 1930s, traces of a large gate and corridor were found around Mansudae near the Moranbong hill, and a section of the west-southern corner of the outer castle, which was destroyed during the construction around Gujeongri, was reported. These surveys are important despite their limitations in survey period and method they had as salvage surveys in that they are the only existing surveys on the internal building structures of the castle. During urban developments since the 1950s, several salvage surveys seem to have been conducted but detailed information has not been reported. In 1993 parts of the mid and outer castles were excavated, probably to find ancient-Joseon sites preceding Koguryo. Another excavation of the outer castle was conducted in 2011, too. These excavations reveal such new information like the fact that the mid and outer castles were created through the earthen core and stone outer building technique as employed in the Guknaeseong Castle, or in Koguryo castles located in South Korea. For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nonetheless,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figuring out how or when the castle walls were built. The Pyeongyangseong Castle is large enough to encircle the huge area ranging from the mountainous areas around the Moranbong hill to the flat lands in the Pyeongcheon district. In addition, it has a complex structure, composed of the northern, internal, mid, and outer castles. As such, it is likely that its walls were built not only in different times, but also through different techniques according to its locations. Aside from the excavations, diverse approaches have been taken to specify when the castle was built through analysis of Gakja Seong-seok relics(刻字城石), requiring the most detailed analysis of the walls. A large part of the remaining walls and gate towers is that which was re-built afterwards not onl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also even later than that. This also necessitates more detailed examinations. Additionally, the traces of such diverse architecture like the foundation of the palace, which was like to be located in the inner castle, and road systems for the urban layout need to be investigated.

목차

Ⅰ. 머리말
Ⅱ. 일제강점기 평양성 발굴조사 현황
Ⅲ. 북한의 평양성 발굴조사 현황
Ⅳ. 평양성의 구조와 축조기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崔鍾澤(Choi, Jongtaik). (2020).平壤城發掘의 成果와 課題. 호서고고학, 45 , 62-85

MLA

崔鍾澤(Choi, Jongtaik). "平壤城發掘의 成果와 課題." 호서고고학, 45.(2020): 62-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