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여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사비기 고분의 위계

이용수 268

영문명
Hierarchy on Neungsan-ri Tombs and Stone chamber tomb of Sabi Period, Baekje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서현주(Seo, Hyunju) 이솔언(Lee, Soleon)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45집, 34~61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백제 사비도성 바깥 동쪽지역의 중요 고분 중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부여 능산리고분군, 능산리 능안골과 염창리 고분군을 대상으로 사비기고분(석실묘)의 위계 문제에 접근해보고자 한 것이다. 백제 사비기 고분의 위계 관련 요소가 무엇인지 검토하고, 고분군들과 각 고분군 내 세부 고분군에서 위계와 관련되는 요소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고분군들의 조성에 반영된 의미는 무엇인지 파악해보았다. 먼저 기존의 연구성과를 참고하면서 고분군들을 검토한 결과 백제 사비기상위 고분의 위계는 봉분의 규모와 경계석 유무, 석실의 구조와 규모, 벽석과 바닥석의 가공정도, 관대나 배수시설의 유무, 목관과 관 부속구의 형태와 수량, 은화관식이나 대금구의 유무 등에서 차이가 나는데, 시기나 위계 정도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사비도성 동쪽지역의 고분군 중 도성민의 무덤은 일정 지점에서 군집을 이루며, 그 중에는 왕릉군도 포함되어 있다. 능산리고분군은 세부 고분군이 순차적으로 조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그 위계는 차이가 있어서 왕계와 관련시켜 고분 조영의 확산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중앙고분군은 주로 왕릉이고, 동·서고분군은 왕계가 달라지는 왕족들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다른 고분군들도 각각 비슷한 시기에 조성되기 시작하며 각 고분군은 혈연에 기초한 개별 집단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군집의 크기 차이는 있지만 세부 고분군의 축조 방향 등이 왕과 왕족 무덤이 조영되었던 능산리고분군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능산리고분군을 포함하여 동쪽지역의 큰 군집을 이루는 고분군들 사이에는 위계 차이가 존재하지만, 각 고분군 내 세부 고분군들 사이의 차이는 크지 않아 조성되는 시점부터 각 고분군의 위계는 어느정도 결정되어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염창리고분군은 도성에서의 거리가 멀고 능산리의 맞은편 산사면이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위계가 높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능산리 능안골고분군도 염창리고분군과 비슷한 변화과정을 겪지만, 고분에 나타난 여러 속성들로 보아 염창리고분군보다 뚜렷하게 위계가 높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능안골고분군은 지형이 약간 달라 염창리고분군과는 확산의 방향이나 양상이 달랐을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approach the issue of hierarchy among the tombs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by examining the major tombs(Neungsan-ri tombs, Neungangol tombs, and Yeomchang-ri tombs of Buyeo) of Baekje in the eastern part of the Sabi capital city. The study examined what elements would show hierarchical differences among the tombs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what differences would be found in these elements among the tombs, and what meanings were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tombs. There were hierarchical differences in the size of a burial mound,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stone chamber, the degree of processing in stone materials, the form and number of a wooden coffin(including nails), and major artifacts among most of the Baekje tombs from the Sabi period. Of the tombs in the eastern part of the Sabi capital city, the ones of citizens were concentrated in some sections, which also included royal tombs. In the tombs of Neungsan-ri, the construction of individual tombs began sequentially. As there were differences in hierarchy among the tombs, the expansion of tomb building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royal line. That is, the central tombs of Neungsan-ri were usually for the royal family, whereas the eastern and western ones were for the royal members of different lines. The construction of Neungangol and Yeomchang-ri tombs began during similar periods. It is estimated that they were the tombs of individual groups based on blood ties as they were similar to the tombs of Neungsan-ri in the construction directions of individual tombs despite different sizes. There were hierarchical differences among the tombs in a large complex in the eastern part including the tombs of Neungsan-ri, but the differences among the individual tombs were not big in each complex of tombs, which suggests that the hierarchy of a tomb must have been determined to some degree right from the time of construc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백제 사비기 고분의 위계 관련 요소
Ⅲ. 사비도성 동쪽지역 고분군의 시기와 위계 검토
Ⅳ. 사비도성 동쪽지역 고분군의 위계와 조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현주(Seo, Hyunju),이솔언(Lee, Soleon). (2020).부여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사비기 고분의 위계. 호서고고학, 45 , 34-61

MLA

서현주(Seo, Hyunju),이솔언(Lee, Soleon). "부여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사비기 고분의 위계." 호서고고학, 45.(2020): 34-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