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 戰國·秦漢時代 甕棺墓의 形成과 性格

이용수 395

영문명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s of the Jar Coffin Tomb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Qin and Han periods of Chin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조윤재(Cho Yun Jae) 진영민(Jin Young Mi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07호, 39~7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의 甕棺墓는 신석기시대부터 등장하였고, 이후 戰國·秦漢時代에 이르러 양적으로 증가하며 유행하였다. 이 시대 옹관묘는 北京, 河北을 중심으로 분포하다가 陝西, 河南, 天津, 山東, 遼寧, 內蒙古까지 확산되었으며, 關中 이남의 長江中流 일부 지역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옹관묘는 조합방식에 따라 單甕式, 합구식(二甕式), 多甕式으로 구분된다. 옹관으로 사용되었던 토기들은 대다수가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것과 동일한 일상 생활토기이다. 일반적으로 옹관은 장방형 수혈의 묘광 안에 橫置로 안치하지만, 長江流域의 峽江地域에서는 直置의 단옹식 옹관묘가 주로 사용되어서 중원지역의 것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옹관묘에서는 喪葬儀禮의 고고학적 흔적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극히 일부의 사례이지만, 棺槨制度와 合葬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도 존재한다. 옹관묘에서 발견된 인골들의 분석을 통해 보면, 피장자는 절대다수가 아동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시 사망한 아동의 葬具로 옹관이 사용된 이유는 문헌에 기록된 ‘無服之殤’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국시대의 횡치·합구식 옹관묘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점차 동쪽으로 확산되었고, 한반도와 일본 북부 九州지역까지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후 각 지역의 재지문화와 교류·접변의 과정을 거쳐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다.

영문 초록

The Chinese jar burial emerged in the Neolithic Period, and coming into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 Qin and Han periods, the practice became prevalent as it increased in quality. The contemporary jar burial, which centered in Beijing and Hebei, spread to Shanxi, Henan, Tianjin, Shandong, Liaoning, and Neimeng, and was also found in some parts midstream the Yangzi River. The jar coffin tombs are classified by their mode of combination into single jar, double jar, and multiple jar. The majority of the earthenware used for jar burial belonged to the residential earthenware of the same sort as was unearthed from the residential sites. The general practice was the lateral placement of a jar coffin in an oblong pit. However, Shanjiang lying midstream the Yangzi River registers a huge difference from Zhoungyuan, in that the former mostly adopted a vertically placed single-jar coffin. Jar burial sites do not show any archeological vestiges of mourning and burial rituals. In very few cases, however, some sites include the traces of a coffin system and burial of multiple bodies in a tomb. The analysis of the human bones found in jar coffin toms confirmed that an absolute majority of the buried bodies were those of children. The adoption of jar burial for the dead children is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practice of ‘Mubokjisang (無服之殤; the funeral for children aged 7 or younger that required no morning costumes) as suggested by the contemporary records. The vertically placed or jars joined by the mouth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gradually spread to east until they spilled over in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ern Kyushu in Japan. Thereafter, the practice underwent continuous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exchange and contact with the local practices in different regions.

목차

I. 머리말
II. 中國 甕棺墓의 연구현황
III. 甕棺墓의 變遷
IV. 甕棺墓의 喪葬儀禮
V. 中國 戰國 · 秦漢時代 옹관묘와 韓半島, 日本 九州지역 옹관묘의 관계
VI.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윤재(Cho Yun Jae),진영민(Jin Young Min). (2020).中國 戰國·秦漢時代 甕棺墓의 形成과 性格. 한국상고사학보, (107), 39-70

MLA

조윤재(Cho Yun Jae),진영민(Jin Young Min). "中國 戰國·秦漢時代 甕棺墓의 形成과 性格." 한국상고사학보, .107(2020): 3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