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紅山文化 牛河梁 玉器副葬墓에 대한 理解

이용수 298

영문명
An Understanding of Niuheliang Tombs with Jade Artefacts in Hongshan Cultur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李淸圭(Chungkyu Lee) 禹明河(Myongha Wo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07호, 5~3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하량 유적의 무덤시설을 보면 크게 무시설묘, 토광묘와 석관묘의 3가지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석관묘는 구조와 규모에 따라서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된다. 옥기의 기종은 사구통형기와 치레걸이, 동물장식 치레걸이, 동물형 옥기, 그리고 판상형 옥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덤에 부장되는 옥기 기종의 조합은 사구통형기+판상형옥기의 1유형, 사구통형기의 2유형, 판상형옥기의 3유형, 기타 4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조합유형에 따라서 옥기가 놓이는 신체 부위가 차이가 나는데, 1유형과 2유형은 머리와 배, 3유형은 배, 그리고 4유형은 팔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부장된 옥기조합 1유형은 대형 석관묘, 2유형과 3유형은 중형 석관묘, 그리고 4유형은 그 대부분 소형 석관묘에 부장되는 경향성을 보여준다. 우하량 무덤 자체의 숫자는 지점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적석총 하층에서 상층, 그리고 그 늦은 단계로 갈수록 증가한다. 한정된 공간 즉, 같은 지점의 같은 묘역 내에 무덤의 숫자는 늘어나지만 부장된 옥기의 숫자와 무덤의 크기는 줄어드는 바, 따라서 옥기부장묘의 등급화 현상을 동일 시기의 사회적 위계화 현상으로 곧바로 해석하기 어렵다. 각 지점에서 적석총 상층의 이른 단계에 1유형 옥기조합을 갖춘 대형 무덤의 주인공은 전부 남성이고, 그 다음 적석총 상층의 늦은 단계에서 2유형과 3유형의 옥기조합을 갖춘 대형 무덤의 주인공 또한 거의 남성이다. 그러나 적석총 상층 늦은 단계에 조성되는 2, 3, 4 유형의 옥기 조합을 갖춘 중소형 무덤의 경우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여성이 더 많은 양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으로 보아 우하량 적석총 상층의 이른 단계에 각 지역 집단을 결집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지도자가 남성이지만 적석총 상층의 늦은 단계에 무덤에 묻힐 수 있는 인구 범위가 확대되면서 성인 남성과 여성의 숫자가 비슷하게 된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e tombs of Niuheliang in the Hongshan Cultu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f non-installed tomb(A), earthen tomb(B), and slab-stone tomb(C)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small(CI) and medium,(CII) and large(CIII) sub-types. Most jade artefacts buried in the tombs are divided into five types such as oblique open-ended cylindrical type(A), simple geometric accessories type(B), accessories with animal shape type(C), three dimentional animal type(D), and flattened disc with clouds or bird decoration type (E). The combination pattern of buried jade artefacts can be classified into I) A + B combination, II) A combination, III) B combination, and IV) other combination. Pattern I & II are corelated with large and middle slab-stone tombs, and pattern III & IV with small C slab-stone tombs in general, but there are exceptional cases also.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human bones, the same ratio of male and female is identified in the tombs of lower stage, but most of them with I-II combination of jade artefacts in large stone- slab tombs are presumed to be male adults in the earlier phase of upper stage. The nearly same proportion of male and female have been identified in the tombs built in late phase of upper stage. However, as the size of place available for t he tomb became smaller, on the contrary to the increasing number of human population, the size of the tombs also became smaller and smaller. Also the number of jade artefacts, which could be obtained from long distance became fewer and fewer. As a result, most of buried jade combinations became that of IV pattern without high value artefacts, and also the number of non-jade tombs sharply increased.

목차

Ⅰ. 머리말
Ⅱ. 무덤의 형식분류와 변천
Ⅲ. 옥기의 분류와 부장위치
Ⅳ. 옥기부장 조합과 무덤 형식과의 관계
Ⅴ. 우하량 무덤집단에 대한 이해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淸圭(Chungkyu Lee),禹明河(Myongha Woo). (2020).紅山文化 牛河梁 玉器副葬墓에 대한 理解. 한국상고사학보, (107), 5-37

MLA

李淸圭(Chungkyu Lee),禹明河(Myongha Woo). "紅山文化 牛河梁 玉器副葬墓에 대한 理解." 한국상고사학보, .107(2020): 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