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이용수 59

영문명
Change of Land Use and Ownership of Bupyeong-dohobu county seat in the Early Modern Period of Korea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조정규(Jo JeongKyu)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40권 제2호, 51~7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읍치는 근대이행기를 거치면서 정치적 공간의 장소에서 자본 축적의 중심, 경제와 교육의 거점, 촌락 공간의 중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근대적 도시로 전환하였다. 부평도호부의 읍치였던 계양구 지역의 토지이용과 그 토지 소유의 변화과정을 통하여 부평도호부 읍치 지역의 근대적 변형과정을 고찰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과정을 지적도와 토지대장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선 시대부터 일제강점기로 접어들면서 읍치의 통치 기구들이 위치한 토지의 이용과 소유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그 변화과정에서 토지이용의 형태 및 기능이 지속, 단절, 대체가 있었다. 부평도호부 읍치는 인천 개항장과 서울을 연결하는 중간 지역에 위치하므로 소유의 변화에서 국유지와 조선인의 토지가 일본인에게로 이전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부평도호부의 읍치 지역은 우리나라의 근대이행기의 일반적인 경향보다는 매우 느리게 전환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행정 기능이 유지되지 못하고, 그 기능을 다른 지역에 빼앗기게 되면서 근대적 흐름에서 밀려난 결과라 할 수 있다. 토지를 소유한 일본인의 수는 많지 않다. 부평도호부의 읍치 지역은 근대이행기에 전통읍치 경관의 해체를 경험하면서도 새로운 근대적 문물을 접하지 못하는 지역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town seat of the Joseon Dynasty was transformed into a modern city by becoming a center of capital accumulation, economy and education, and a village space in the political space going through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rough the change process of land use and land ownership in Gyeyang-gu, which was the county seat of Bupyeong-dohobu(富平都護府), the modern transformation process of Bupyeong-dohobu area can be considered. This transformation process was analyzed using cadastral map and land register. Since the Joseon Dynasty entere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use and ownership of the land where the governing bodies of the towns are located. In the process of change, there were continuous, disconnected and replaced forms and functions of land use. Since Bupyeong-dohobu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link between Incheon Port and Seoul, it can be assumed that it is very likely that the state-owned land and the land of Koreans have been transferred to the Japanese in the change of ownership. However, the towns of Bupyeong-dohobu have been tending to change very slowly rather than the general tendency of Korea s modern transition period. It is the result of being unable to maintain the administrative function and being deprived of the modern trend as the function is lost to other regions. The number of Japanese who own land is not much. Bupyeong-dohobu s township area can be said to be a place where people cannot experience new modern culture while experiencing the dissolution of traditional townscape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목차

1. 머리말
2. 지적원도 상의 토지이용과 토지 소유
3. 1910년 이후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4. 읍치 경관의 근대적 변형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정규(Jo JeongKyu). (2019).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기전문화연구, 40 (2), 51-70

MLA

조정규(Jo JeongKyu).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토지이용과 소유의 변화." 기전문화연구, 40.2(2019): 5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