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윤두서의 『東國輿地之圖』와 조선전기의 조선전도

이용수 90

영문명
『Donggukyeojijido』 of Yun Du-seo and General Maps of Korea in Early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양보경(Yang, Bo-ky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8권 제2호, 29~5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전기형 지도에서 조선후기형 지도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형태로 평가받는 공재 윤두서의 『동국여지지도』의 바탕이 된 지도에 대해 재고하고, 『동국여지지도』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동국여지지도』의 저본으로 추정되었던 조선전기형지도들에는 평양 주변에 檀君墓·箕子殿·永崇殿 등이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일본 육군참모국이 1876년에 발행한 『조선전도』 및 그 이후 일본에서 제작된 지도에 수록되었던 지명이다. 그러므로 현존 조선전기형 지도들은 16세기 모사본(2차 사본)을 19세기 후반에 다시 모사한 본(3차 사본)으로 생각된다. 조선전기형 지도들과 비교한 『동국여지지도』의 특징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동국여지지도』는 도로의 크기에 따라 선의 굵기를 달리 표시했으며, 해로를 표시한 가장 이른 시기의 조선전도라는 의의를 지닌다. 이 지도에 표현된 섬의 숫자는 조선전도에 일반적으로 기재되는 섬의 숫자에 비해 매우 많으며, 19세기 후반의 대축척 대형전도에 표기되는 숫자와 유사하다. 바다와 도서를 선염법으로 채색한 점 등 공재의 해양에 관심은 사람들의 생활공간으로서의 연해와 도서를 인식하고, 그 인식을 지도에 표현한 것이며, 지도의 제작과 이용의 새로운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해로와 도서, 도서의 소속 관계를 강조한 조선전도는 조선의 지도 중 매우 독특한 것이며, 『동국여지지도』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동국여지지도』는 북방 지역에도 새로운 정보를 반영해, 조선전기 조선전도에 표현되던 만주 지역 일대가 제외되고, 압록강과 두만강을 중국과의 경계로 표시했다. 1712년에 설치된 백두산정계비를 지도에 그림으로써 백두산과 압록강·두만강을 청나라와의 국경으로 인식했던 현실적 시각을 보여 준다. 조선전기 지도의 북방 지역 표현에 비해 압록강과 두만강, 그 지류들의 유로가 정확해졌으며, 백두산을 크게 강조한 점, 산지를 연결되는 산줄기로 표현한 점도 특징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nsiders the base map of 『Donggukyeojijido』 created by Gongjae Yun Du-seo (1668-1715), and contemplates the characters of 『Donggukyeojijido』. The maps presumed as a base map of 『Donggukyeojijido』 made in early Joseon dynasty indicated some places near Pyongyang such as grave of Dangun(檀君), shrine of Gija(箕子), Youngsungjeon(永崇殿). These place names had been included in general map of Korea published by Japanese Army Bureau in 1876 as well as the maps subsequently made in Japan. Therefore, existing maps of early Joseon Dynasty are presumed to be compiled in the late 19th century as duplicated copy of copied maps in 16th century. 『Donggukyeojijido』 varies line width according to different size of the roads, and indicates the sea routes for the first time among the general maps of Korea in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islands marked in 『Donggukyeojijido』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general maps of Korea made in Joseon Dynasty, and it’s more similar to the large scale general map issued in the late 19th century. Considering such fact that sea and islands were colored with ombre dyeing method, Yun Du-seo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ocean. It’s significant in terms that Gongjae expressed his recognition regarding the coast and islands as people’s living space, and this clearly shows the new perspective of making and using the map. On top of that, the map’s character emphasizing the relation between sea routes and islands is unique compared to the other Joseon map. New information was also added on the northern part of 『Donggukyeojijido』. This map further shows its perspective to recognize the Baekdu mountain, Amnok river and Duman river as a border between Cheong China and Joseon and displaying the existence of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established in 1712.

목차

1. 머리말
2. 조선전기의 지도 제작
3. 현전하는 조선전기의 조선전도
4. 섬과 바다의 지도, 『동국여지지도』
5. 『동국여지지도』의 북방지역 인식과 표현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보경(Yang, Bo-kyung). (2016).윤두서의 『東國輿地之圖』와 조선전기의 조선전도. 한국고지도연구, 8 (2), 29-50

MLA

양보경(Yang, Bo-kyung). "윤두서의 『東國輿地之圖』와 조선전기의 조선전도." 한국고지도연구, 8.2(2016): 29-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