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문인화가 공재 윤두서의 지도

이용수 141

영문명
Yun Du-seo s map of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이태호(Lee Tae ho)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0권 제2호, 35~5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그 많은 지도제작에는 도화서 화원들은 물론 문인화가가 참여하였다. 화가가 지도를 제작한 문헌 기록이나 사례에 비하면 실제 작가가 분명한 경우는 많지 않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지도학자를 제외하고, 실물지도가 전하는 화가로는 공재 윤두서(恭齋 尹斗緖, 1668~1715)가 손꼽힌다. 남인 실학파 계열에 속하는 윤두서는 유교 경학(經學)과 시서화(詩書畫) 외에 폭넓은 분야를 섭렵하였다. 박학다식한 윤두서는 지리학에 관심도 컸다. 윤두서는 자화상을 치밀하게 그렸듯이 산과 강의 흐름, 곧 땅의 초상을 지도에 옮겼다. 아들 윤덕희가 쓴 ‘윤두서행장’에 의하면 중국지도, 조선지도, 일본지도를 제작했다. 현재 종가인 녹우당에는<동국여지지도(東國輿地之圖)>와<일본여도(日本輿圖)>(이상보물 제481호)가 전해온다. 현재 해남 종가에 전하지 않는 ‘중국여도(中國輿圖)’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천하대총일람지도(天下大摠㊀覽之圖)>로 추정된다. 1712~1715년에 그린<동국여지지도(東國輿地之圖)>는 조선 초기 정척과 양성지의 ‘동국지도’ 유형에 속한다. 만주지방이 생략되고 북쪽의 두만강과 압록강을 일직선으로 왜곡해 그려져 있다. 전남과 서남해안 섬들을 자세히 소개한 점은 유난하다. 백두산의 설경(雪景)이 회화적으로 강조되고, 조선과 청이 1712년에 맺은 정계비가 표시되어 있다. <일본여도(日本輿圖)>는 지명을 쓴 서체가<동국여지지도>의 평범한 행서체보다 윤두서의 개성적 필치를 보여준다. 작은 글씨임에도 붓끝이 처음 닿는 곳과 끝부분이 약간 굵고, 중간이 살짝 가늘어지는 서풍이 그러하다. 윤두서 이전에 조선에서 그려진 일본지도에 비하여 한결 일본 땅의 윤곽을 닮은, 당대 최신의 일본지도를 구해서 모사한 지도이다. <천하대총일람지도(天下大摠㊀覽之圖)>는 접는 소책자 방식이 현재 녹우당에 소장된 윤두서의 두 지도와 흡사하고, 조선 닥종이에 수묵담채로 그린 대작이다. 지도 뒷면에서 소장인 ‘덕필(德弼)’이라는 도장을 발견하고 윤두서의 제작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덕필’은 윤두서의 조카뻘인 윤덕필(1723~1793)로 생각된다. 도장에 성이 없으나, 이름만 새긴 도장이어서 집안 간의 이동을 짐작하게 한다.<천하대총일람지도>에는 백두산 표현이 소략하고 정계비(定界碑)가 보이지 않아, 이 지도의 제작시기를 1712년 이전으로 짐작케 한다. 윤두서의 지도 걸작들은 지리학적 가치와 더불어 회화 명품과 동등한 문예사의 위상을 갖는다. 윤두서는 15~17세기 화원들의 조선지도를 정리해<동국여지지도>를 완성했고, 18~19세기 지도 그림의 형식에 영향을 미쳤다. 또 중국과 일본에서 당시 최신의 지도를 복제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했다. 조선지도사에서 윤두서는 조선 후기 지도형식의 기틀을 만든 당당한 지도학자인 셈이다.

영문 초록

The artists of Dohwaseo and many literary painters participated in making the maps in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literature and cases of artists who created maps, the actual names of artists who created the maps are not clear in most cases. Excluding the cartographers of the Joseon Dynasty, Doo Seo Yoon (Gongjae, 恭齋 尹斗緖, 1668~1715) is an artist known for a map that still exists. As a member of Southern Silhak Sector, Yoon was widely profound in Confucian teachings and in paintings with poetry and calligraphy. He was also interested in geography. As he drew very detailed portraits, he recorded the flow of mountains and rivers, or the portraits of the ancestors lands, on the maps. According to Yoon Doo Seo Haengjang‘ written by his son, Deok Hee Yoon, he created the maps of China, Joseon, and Japan. The head house of his family called Nogudang still preserves his and(both Treasure No. 481). ‘Junggukyeodo (中 國輿圖)’ is currently not found in the head house in Haenam, but it is assumed that it i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reated between 1712 and 1715,is a kind of Donggukjido featuring the early settlements and developments of Joseon. The Manchuria region was omitted and the Duman River and Amnok River to the north are just drawn in straight lines. On the other hand, Jeonnam and the islands in the southwestern seas are very detailed. The snowy view of Mt. Baekdu is emphasized by painterly means and the monument of Joseon and Ching from 1712 is marked. reflects Yoon s more unique handwriting style compared to the ordinary Haengseo style of. The letters are small, but the start and end of the brush tip are slightly thicker and the middle is a little thinner. Compared to the maps of Japan created in Joseon before Yoon, Yoon s map reproduced the contour of the Japanese island and imitated the latest map of Japan at that time. comes in a foldable booklet similar to the two other maps of Yoon in Nogudang. It is a masterpiece of ink painting on the Korean paper. On the back of the map is a seal of ‘Deokpil (德弼),’ so it was suggested that the map may have been created by Yoon. ‘Deokpil’ seems to refer to Yoon s nephew, Deok Pil Yoon (1723~1793). The seal is missing the family name, but it reflects that it has handed down between family members.has simplified Mt. Baekdu and does not mark the monument, so it is assumed that the map was created before 1712. The maps of Yoon are valuable not only in the geographical section, but also in the artistic section. Yoon compiled the maps of Joseon created by other artists in the 15th to 17th Centuries to complete and influenced the cartographic style of the 18th to 19th Centuries. Also, he copied the latest maps of China and Japan to provide new information. In the history of Joseon s cartography, Doo Seo Yoon was a proud cartographer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cartography for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1. 시작하며
2. 조선지도의 완성과 화가의 역할
3. 윤두서의 <동국여지지도>와 <일본여도>
4. 윤두서의 중국지도로 추정되는 <천하대총일람지도>
5. 윤두서 이후 정상기의 조선지도에 관한 정약용의 비교평가
6. 마치며 : 화가의 지도에서 지도학자의 지도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호(Lee Tae ho). (2018).조선 후기 문인화가 공재 윤두서의 지도. 한국고지도연구, 10 (2), 35-57

MLA

이태호(Lee Tae ho). "조선 후기 문인화가 공재 윤두서의 지도." 한국고지도연구, 10.2(2018): 35-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