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고지도에 나타나는 고대 도시 흔적에 관하여

이용수 101

영문명
Traces of the ancient cities that appear on the old map of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0권 제2호, 59~7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와 일제 강점기 고지도를 사용하여 고대 경관 복원의 실마리를 찾는 시도의 한 사례로서, 고지도에 나타난 신라 9주5소경 관련 정보 분석을 나성, 가로구획, 지명 등 세 가지 시각에서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이하와 같은 가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축조시기를 고대로 소급할 수 있는 도시 나성의 존재를 일부 도시에서 고지도나 지리지를 통해 확인이 되는데, 그 대부분은 해당 도시의 상징적인 역사(수로왕의 성, 유인궤성, 예국고성, 무진도독고성 등)와 연계시켜 인식되어 있다. 둘째, 중/근세 읍성은 고대 나성보다 보통 규모가 훨씬 작고, 관아 등 공공시설의 방어 위주로 설계되었다. 발굴조사를 통해 대부분 도시에서 관아 터 자체는 크게 이동하지 않았던 가능성이 높아서, 결국 고대도시의 관아 주변 부분만을 둘러치고 읍성을 다시 만들었을 것이다. 셋째, 일부 고지도에서는 신라시대로부터 내려왔을 가능성이 있는 읍내 지명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것이 고대 방리 구획과 이에 상응한 행정구역을 복원하는 실마리가 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have analyzed the information and remained landscape related to Silla origin cities, so-called 9 state capitals and 5 sub-capitals, in the map created in Joseon era. The following three factors were taken as hypothesis for further study and generalization of theory. First, the name of each fortress used the symbolic name of earlier ancient history of the town. In reality, however, most of them were made from the end of Silla to the beginning of Goryeo, Second, the medieval fortress is much smaller than the ancient one. It contains almost only the administrative facilities. However,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facilities remains in the same place. That means its location was just downsizing. Most cities had a grid-like city plan. The street plan and the fortress are unrelated each other. So it seems to have been made in another era. Third, some of the nominations of land name in these maps could assume they are originated in Silla. So we can restore ancient administrative areas and grid-shape city plans using these land names. These results will be used for generalization of my theory for the location and inner structure pattern of Shilla’s cities in the near future.

목차

1. 서론
2. 고지도에 나타난 고대 나성
3. 고지도에 나타난 가로 구획
4. 지명과 행정구역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2018).조선시대 고지도에 나타나는 고대 도시 흔적에 관하여. 한국고지도연구, 10 (2), 59-77

MLA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조선시대 고지도에 나타나는 고대 도시 흔적에 관하여." 한국고지도연구, 10.2(2018): 59-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