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표상

이용수 232

영문명
Representation of the Northeast Asian Dolmen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오강원(Oh, Kang Won)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25권,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석묘는 상석이 지상에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서 표상의 물질적 표현이다. 동북아에서 지석묘가처음으로 출현한 것은 요동 남부인데, 이 지역의 초기 형식은 기념물적 성격을 물질적으로 표상하고 있는 거대한 탁자식 지석묘였다. 한반도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 후반 전엽 석관묘가 축조되기 시작하다가, 후엽에 이르면 전국적으로 취락에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특정 공간(신성 공간)을 도랑을 평면 원형으로 둥그렇게 파 안팎을 구획하여 놓은 환호가 등장하는데, 석관묘 축조 집단이 환호 구획의 아이디어를 석관묘에 적용하게 되면서주구석관묘라는 새로운 무덤 유형이 출현하게 된다. 이 즈음 지석묘제가 남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영남의 경우 청동기시대 후기 초 주구석관묘 조성 집단이 지석묘에서 상석의 표상성을 따오고 주구 내부에 석재를 채우게 되면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게 된다. 다만 영남 이외의 지역에서는 주구석관묘와는 상관없이, 서북한의 묘역식이 수용되거나, 매장주체부를 보호하고 상석의 무게를 지탱하고자 하는 기능적 목적과 지상(묘역)에 상석에 부수하는 표상성을 현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외 서북한의 묘역식은 동일 세대공동체의 유대 관계를 현시하는물질적 표현으로서 묘역식 지석묘가 출현하였다. 청동기시대 후기 후반에 이르면, 지석묘의 전통적인 표상이 한반도 남부에서 재생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한반도 남부 지석묘의 전기 형식인 개석식과 묘역식이 지상화되면서 출현하게 된 탁자식, 기반식, 주형지석식, 위석식 지석묘이다. 이 형식의 지석묘들은 무덤과 마을의 표지석 및 집단의 기념물과 경계석 등으로도 활용되었다. 덕천리식 지석묘는 지상 구조에서는 지석묘의 조성 원리가, 지하 구조에서는 석관묘의 조성 원리가 극대화되어 있는 것이라할수있는데, 새로운 표상 전통의 확립이라할수있다. 이외 성혈과 암각화 지석묘또한한반도특정 지역 지석묘의 관념이자 의례적인 표상이었다.

영문 초록

Dolmen is the materialistic expression of the representation in itself for having its capstone revealed above ground. It was in the southern region of Eastern Part of Riaoning Province in China when dolmen first appeared in Northeast Asia, and the early-type was a huge Table Stone type dolmen which materialistically represented its monumental nature. Stone coffin burials were begun to be built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early part of later Lower Bronze Age, and in the posterior part, ditched enclosure appeared as the ditches of specific spaces (sacred spaces), which were endowed with special meanings within the settlement, were carved in and out in a circular manner in a nationwide scale. And a new type of burial pattern called Stone coffin tomb with a burial ditch emerges as the group of Stone coffin constructors applied the idea of ditched enclosure to the Stone coffins. Around this time, dolmen burial type had also affected South Korea, In case of the early part of Upper Bronze Age in Keongsang Province, as a group of Stone coffin tomb with a burial ditch constructors acquired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capstone from dolmen and fill the interior of the ditch with stones, the Burial boundary type dolmen had emerged. However, in areas other than Keongsang Province, the Burial boundary type dolmen had emerged with the intention to display the representativeness inherent to the Capstone and the functional purpose to protect the central part of the burial and resist the heaviness of the Capstone, or by accepting western North Korea s Burial boundary type, regardless of the Stone coffin burial with ditch. Upper Bronze Age, traditional representations of the dolmen were regener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resulted in the grounding of the Burial boundary type and Covering stone type, which is the former type dolmen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is had led to the emergence of Table stone type, Base type, Pillar stone type, and Stone-circle type dolmen. Dolmens of these types were also utilized as tombs and village signpost stone, as well as monuments and boundary stones of the group. Deokcheon-ri type dolmen can be said to have established a novel representation tradition as it maximized the construction principle of the dolmen when above ground and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the Stone coffin when underground. In addition, cup mark and petroglyphs dolmens were also the concepts and ceremonial representations of the dolmens of specific regions in the Korean Peninsula.

목차

Ⅰ. 머리말
Ⅱ. 동북아시아 지석묘 사회의 전야
Ⅲ. 지석묘외 출현과 전통적 표상의 확립
Ⅳ. 중국 동북의 지석묘 전통의 지속과 변형
Ⅴ. 한반도 지석묘 전통의 획립과 새로운 전통의 형성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강원(Oh, Kang Won). (2019).동북아시아 지석묘의 표상. 고고광장, 25 , 1-32

MLA

오강원(Oh, Kang Won).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표상." 고고광장, 25.(2019):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