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북아시아 虎形裝飾의 표상과 한반도 출토 虎形帶鉤의 기원 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presentation of the Tiger-Shaped Adornments in Northeast Asia and the Tiger-Type Belt Hooks Excavated on the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김동일(Kim, Dong Il)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25권, 33~6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호형장식의 표상을 파악하는데 있다. 호형장식이 선사시대 동북아시아에서 어떻게 표현되고묘사되는지를 정리한 후, 동북아시아 호형장식의 표상과그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동물 장식의 표상을 정리하면, 자신의 신분이나 소속도 함께 표현하였다. 서북계통호를 사용하는 사람들은전국시기부터 호랑이를 제어할 수 있는 존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당시 사람들의 사회 관념 전환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며, 당시 사람들은 더 이상 호랑이를 무서워하지 않았다. 그러나 해당 문화가 멸망하였고, 잔존한 문화요소는 중원에 융화되며, 이후 한반도로 그 관념과 유물이 이동한다. 당시 한반도의 사람들도 서북계통호의 관념을 그대로 받아들여서 호랑이를 위협적인 존재가 아니라, 제어가 가능한 존재로 인식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인식은 유물과함께 한반도의 여러 지역으로 확산된다. 중산국에서는 실제로 금속제 목걸이가 출토된 바 있기 때문에 호랑이는 사냥이 가능한 존재 혹은 사육하고 싶은 존재로 묘사되었다고 판단한다. 동북아시아 출토 호형대구는 물건이나 기술적인 교류를 상징하기도 한다. 이와는 별도로 정구자유형의 사례를 볼때, 문화의 기원지였지만 이미 멸망해버린 혹은 멸망하는 단계의 옥황묘문화를 잊지 않기 위하여 이전 문화권에서 사용되던 동물 장식을 본래의 용도와 다르게 사용하여, 자신의 근원과 본래의 소속을 표현하는 상징물로도 활용된다. 즉, 동물 장식은 숭배나 사회 관념을 표현하지만, 직접적으로는 신분이나 소속을 표현하는 상징물이며, 이를통해 자신의 근원을 잊지 않으려 하였다. 호형대구의 기원과 공반유물을 근거로 한반도에 사카계문화가 유입되었다는 견해도 있지만, 이는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무리한 주장이며, 실제로는 서한과 한반도와의 교류를 통해 호형대구가 유입된다. 지금까지 호형대구의 기원에 대해 시·공간적인 공백을 메우지 못한 추측성 주장들이 있었지만, 본고에서 검토하였듯이 서북계통호에서 중산국으로 이어지며, 중산국에서 서한으로 이어진 후, 한반도로 유입되는 현상이 명확하므로, 국내학계에 호형대구의 기원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representation of the tiger-shaped adornments.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fter organizing how those adornments were expressed and described in Northeast Asia of prehistory, it draws the representation of the adornments and their meanings in Northeast Asia by identifying and examining meaningful representations through independent symbols. If the representations of animal adornments are organized, we can see that people’s status and where they belonged were expressed together. People who used the Northwestern tiger began to perceive tigers as controllable beings from the Warring states time, describing this in more detail. This means that a change of people’s social ideas occurred at that time. That is, they were no longer afraid of tigers. However, they went to the ground, and their remaining cultural elements were integrated into the Central Plains. Then, the ideas and relics were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people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much likely to perceive tigers not as threatening but as controllable, also accepting the idea of the Northwestern tiger as it stood. Such perception was spread to various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along with relics. In Zhongshan State, metal necklaces were actually excavate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people described tigers as beings who could be hunted or were wanted to be raised.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representation of the tiger-shaped adornments of Northeast Asia. Considering the case of the tiger-type belt hooks, they also reflect exchanges of relics or skills. Apart from this, looking into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Jinggouzi type, the animal adornments of the previous cultural area were used differently from their original purpose and utilized as symbols expressing the people’s root and where they originally belonged, so as not to forget their root that already went or was going to the ground. That is, animal adornments expressed worship and social ideas but were symbols that directly expressed people’s status or a community where they belonged, and through them, people tried not to forget their own root. There is an argument that the Saka culture was introduced into the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origin and association relics of the tiger-type belt hooks. However, this is not convincing, as examined earlier. Actually, the hooks were introduced through the exchanges between the Western Han Dynasty and the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So far, there have been speculative claims about the origin of the hooks, which have not filled the spatial and temporal gaps. However, as examined in this paper, the hooks were clearly introduced in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route of the Northwestern tiger, Zhongshan State, and the Western Han Dynasty in that order. Therefore, this paper presented an answer to the origin problem of the hooks. The second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origin of the hooks which has not been clearly presented thus far.

목차

Ⅰ. 머리말
Ⅱ. 虎形裝節의 계통과 특징
Ⅲ. 西北系統虎와 한반도의 虎形帶鉤
Ⅳ. 虎形裝節을통해 본 動物裝節의 표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일(Kim, Dong Il). (2019).동북아시아 虎形裝飾의 표상과 한반도 출토 虎形帶鉤의 기원 연구. 고고광장, 25 , 33-60

MLA

김동일(Kim, Dong Il). "동북아시아 虎形裝飾의 표상과 한반도 출토 虎形帶鉤의 기원 연구." 고고광장, 25.(2019): 33-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