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ᄃᆡ비훈민가> 관련 텍스트의 존재 양상과 변이

이용수 54

영문명
The Existential Aspect and Variations of Texts Related to Kim Daebi Hunminga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최은숙(Eun Sook, Choi)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9권, 243~26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김ᄃᆡ비훈민가>·<부인훈민가> 및 이들과 관련 있는 텍스트의 작품 현황을 살피고 텍스트 변이와 담론 양상을 살핀 것이다. <김ᄃᆡ비훈민가>·<부인훈민가>는 김대비라 추정되는 왕실의 여성이 대민전교의 차원에서 창작한 훈민가이다. 그런데 <김ᄃᆡ비훈민가>·<부인훈민가>의 내용을 공유하면서도 이들과 차별성을 지닌 텍스트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각편이 존재한다는 것은 이들에 대한 가사 향유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고 이들 가사의 전승 과정에서 향유자의 적극적 개입이 있었음을 말해 준다. 이들 텍스트는 주로 경북지역 규방가사 전승권에서 향유된 것으로 보이며, 19세기말에서 20세기 중반까지 그 전승을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변이는 김대비와 김대부라는 작가적 표지의 교체이고, 가사 필사자의 사적 발화가 확장되는 현상이다. 김대비는 작가 및 작품의 정체성을 말해주는 중요한 표지이다. 이를 토대로 작품 창작의 배경과 동기, 교훈 대상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중요한 표지가 김대부로 교체된다. 김대부로의 교체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훈민 담론이 가문 결속을 위한 교훈 담론으로 변이되어 전승을 지속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이들 가사의 전승 과정에서 필사자가 텍스트의 발화자로서 적극적으로 개입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발화자의 개입은 표면적으로는 기존 텍스트의 교훈 담론을 유지하는 듯하지만, 이를 활용하여 자신의 개인적 체험과 한탄을 확장하여 텍스트 자체를 교훈의 구심에서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끈다. 이러한 양상은 수신자를 향한 가르침의 언술이 필사와 전승의 과정을 거치면서 변화를 겪고, 오히려 수신자가 텍스트 형성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텍스트를 자기화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상의 논의는 <김ᄃᆡ비훈민가>·<부인훈민가> 관련 텍스트의 존재 및 전승 과정을 구명함으로써 작품론의 성과에 기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가사 전승 및 향유의 양상을 추적하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im Daebi Hunminga and Buin Hunminga and the literature on their related texts, as well as their patterns of text variation and discourse. Kim Daebi Hunminga and Buin Hunminga are works of hunminga by Kim Daebi, assumed to be a woman from the royal family, written to spread the vice and virtues to the public.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 texts that share the contents of Kim Daebi Hunminga and Buin Hunminga while showing distinct differences.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t variations shows the continuous concerns on these works by those who enjoy them and their active involvement i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these works. It is assumed that these texts were enjoyed in the transmission regions of the Kyubang-Gasain the Gyeongbuk area and were passed down from the end of the 19thcentury to the mid-20thcentury. The most important variations are the change of the author’s sign from KimDaebi to KimDaebu and the addition of private narrations by the Gasascribes. Kim Daebi is an important sign that defines the identities of the author and the work. However, this important sign is switched to Kim Daebu. The variation to Kim Daebu signifies the variation of discourse of lessons for the people at a national level to a moral discourse for family solidarity. This can also be confirmed by the change of title and content in the text. This change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iscourse of lessons into the level of everyday ethics centered on the family in the 19th century traditional society. At the same time, during the course of transmission of the gasa, the scribes actively intervened as the narrator of the text. While they superficially seem to maintain the original text’s discourse of lessons for the people, they apply their personal experiences and lamentations to lead the texts away from the key point of the lessons. This is a notable point in that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moral Gasa, the words of teaching for the receiver in the transmission become customized wit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eceiver in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and transmission. This study may serve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literature by bringing into light the existence and the transmission process of the texts related to Kim Daebi Hunminga and Buin Hunminga,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an opportunity to trace the transmission and enjoyment aspect of the gasa.

목차

1. 서론
2. 텍스트 존재 양상
3. 텍스트 변이와 담론의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숙(Eun Sook, Choi). (2019).<김ᄃᆡ비훈민가> 관련 텍스트의 존재 양상과 변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9 , 243-269

MLA

최은숙(Eun Sook, Choi). "<김ᄃᆡ비훈민가> 관련 텍스트의 존재 양상과 변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9.(2019): 243-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