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간독>(諺簡牘)과 한글 편지를 통해 본 근대의 풍경

이용수 154

영문명
A manifestation of modernity in Eongandok and Hangeul letters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최지녀(Choi, Ji-nyeo)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9권, 223~24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세기 중반 이후 서울과 전주를 중심으로 유통된 방각본 <언간독>(諺簡牘)은 한글 편지 쓰기의 보편화에 크게 기여한 한글 편지 규식집이다. 방각본 <언간독>은 상업적 유통을 목적으로 발간된 것으로서 한글 편지를 둘러싼 실정(實情)과 한글 편지에 대한 당대인들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다. <언간독>은 발신자와 수신자의 관계 혹은 편지의 주제에 따라 사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존의 한문 및 이두 규식집의 영향을 받은 ‘상편’과 달리 여성 필자의 편지 규식을 담은 ‘하편’은 기존 규식서의 영향을 덜 받은 대신 실제 통용되는 편지의 보편적 사례들을 수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언간독>의 사용자들은 기존에 제시된 양식을 적절히 조합하거나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목차에 포함되지 않은 유형의 편지를 쓸 때에도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언간독> 상편의 규식 중에는 상인(商人)이라는 특정 직업군이 활용할 수 있는 규식이, <증보언간독>의 하편에는 하층민을 위한 규식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동윤(李東允, 1727~1809)의 <예향>에 등장하는 예향이나 이옥(李鈺, 1760~1815)의 <심생전>에 등장하는 중인의 딸과 같이 중하층의 여성들이 능숙하게 한글을 구사하고 한글 편지를 쓰는 장면이 이전 시기인 18세기의 소설 속에서 산견되기도 한다. 이로 볼 때 <언간독>은 조선 후기의 상층, 중간층, 하층 그리고 여성과 남성이 한글 편지라는 수단을 통해 대등한 위치로 나아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하나의 상징적 장(場)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신분과 성별의 평등을 지향하는 근대 사회를 예비하는 면모라 할 수 있다. <언간독>은 편지틀 또는 편지책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전해지는 <언간독> 자료에는 편지 구절을 써 본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언간독>이 제한된 구성 내에서도 사용자의 호응을 얻으며 편지 교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냈음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언간독> 연구가 <언간독>을 독립적인 자료로 취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면 앞으로의 연구는 <언간독>의 실제 기능과 활용 양상, 한글 편지와의 관계 등에 주목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Eongandok is manual for Hangeul letters, which were distributed in Seoul and Jeonju since the mid-19th century. It contributed greatly to the universalization of Hangeul letters. Eongandok was published for commercial distribution and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Hangeul letters and the demands of the people who needed to write Hangeul letters. The composition of Eongandok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der and receiver or the subject matter of the letter, unlike the first volume influenced by existing manual for Chinese letters, the last volume seems to have embraced the universal cases of the letter. A manual book is intended to be an imitation for beginners, but for those with some experience, it is bound to be a model of utilization and transformation as a reference. Users of Eongandok may not have had much difficulty in writing letter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table of contents, because they could properly combining or modifying the previously presented forms. There are writing manuals for the merchant in the first volume of Eongandok and for the lower classes in the last volume of enlarged Eongandok. Meanwhile, women of middle and lower class speaking Korean and writing Hangeul letters are also found in novels of the 18th century, the previous period of Eongandok. Yehyang, a maid who appears in Lee Dong-yoon’s “Yehyang”, and a daughter of middle class men who appears in Lee Ok’s “Simsaengjeon” shows that middle and lower class women had the ability to write Hangeul letters like or surpass upper class women. Through the fact that merchants, lower class people, and upper class men were being included as writers of Hangeul letters, we can see how the use of Hangeul letters were becoming more common. These mean that Eongandok is a symbolic field and way to prepare for a modern society that seeks equality between status and gend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Eongandok was also called a letter frame or a letter book. There are often traces of writing sentences in the Eongandok, which means that Eongandok had been well received by users and faithfully performed its role as manuals for letters, even in the stereotype. If research of Eongandok has been conducted in such a way as to treat Eongandok as an independent material, future research should be done with attention to the actual function and use of Eongandok, and its relationship with Hangeul letters.

목차

1. 서론
2. 방각본 <언간독>의 체제와 의미
3. 방각본 <언간독>에 나타난 근대의 징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녀(Choi, Ji-nyeo). (2019).<언간독>(諺簡牘)과 한글 편지를 통해 본 근대의 풍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9 , 223-242

MLA

최지녀(Choi, Ji-nyeo). "<언간독>(諺簡牘)과 한글 편지를 통해 본 근대의 풍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9.(2019): 223-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