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혼인과 가족 문화의 관점에서 본 <선녀와 나무꾼>

이용수 210

영문명
Reading from a viewpoint of marriage custom and family culture of Korea - based on the collective memory and the shared passion of their married life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전주희(Jeon Juhee)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39권, 101~153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부와 가족 관계를 중심소재로 하는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를 한국의 전통 혼인 제도와 가족 문화의 맥락에서 재조명한다. <선녀와 나무꾼>은 다양한 변이형들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선녀승천형을 포함하는 다른 이야기들- 나무꾼 승천형, 나무꾼 지상회귀형, 동반하강형을 대상으로 하여, 선녀와 나무꾼이 반복하는 만남과 이별의 근본적인 원인으로서 ‘분리’의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그들의 양쪽 집안 식구들과 맺는 관계에서도 중요한 사안이 된다. 선녀와 나무꾼 부부는 함께 할 때마다 늘 한쪽이 자신이 떠나온 터전을 잊지 못함으로써 서로 헤어지게 된다. 필자는 이것이 부부가 혼인을 통하여 원가정으로부터의 물리적· 심리적으로 ‘분리’하여 구성가정으로 ‘독립’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를 상징하고 있다고 보았다. 실제로 혼인은 혼인 당사자와 양가 집안에게 있어 대사(大事)이다. 특히 한국의 혼인 문화는 근대에 접어들어 시집살이혼이 일반화되었기 때문에 결혼은 이전 세대의 여성들에게 큰 심리적 부담이 되었다. 마찬가지로 그 세대의 남성들이 아내를 맞아 가장이 되고 독립하는 과정은 힘들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터전에서 원가정과 구성가정을 모두 부양해야 하는 책임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비슷한 혼인 문화를 경험했던 이전 세대의 여성들과 남성들에게 결혼 생활이 어떻게 기억되고 재현되는지를 ‘집단 기억’과 ‘공유된 정서’라는 개념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그러한 문화적 기억들이 <선녀와 나무꾼>을 구연하는 제보자들의 언술에서 성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남편과 아내에게 혼인으로 인한 ‘분리’는 각각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따라서 <선녀와 나무꾼>이 전승되는 맥락으로서 이전 세대의 결혼에 관한 ‘집단 기억’과 ‘공유된 정서’를 돌아보는 것은 이 이야기에서 충분히 재현되지 못한 혼인의 문화사와 정념을 구체화함과 동시에 현 세대에게 혼인의 여정과 그 완성의 의미를 재고하게 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a new understanding of in terms of marriage custom and family culture of Korea because the tale’s centre of materials are a married couple and family relationship. There are so many varieties from the tale and they almost involve the meeting and parting of a fairy and a woodcutter excepting a variation story ‘a fairy’s ascens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mainly deal with the variations of the tale as ‘a woodcutter’s ascension’, ‘a woodcutter’s return to his ground’(the origin story of a being cock), and the couple’s descending’, because these variations suggest a problem of ‘separation’ from their family of origin or parents for their marriage. A fairy and a woodcutter, either of two is always miss his or her family of origin and base even though they live together. So the ‘separation’ also implies an issue about their independence. In fact, marriage is a very important event for the contracting parties in their own marriage and families of origin. Especially, the marriage custom of Korea becomes patrilocality in modern 19 century, Korean women have to live with their in-laws and suffer from all problems with their life. Korean men also have difficulties to be a head of the household and to separate his family of origin. They have a burden as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and family. I attempted to explain their marriage lives which have been experienced by the previous generation, and their collective memory and shared passion about the marriages. For this purpose, I will suggest many of oral life stories from the women who have been experienced patrilocality(sijip-sari) and explain the relevance between the stories and the tales that they narrated. I also demonstrate how their attitude and cultural memories about the marriages appear in the which have been described by the storyteller’s gender. With this, I determine each different meaning of a ‘separation’ result from the marriage for men and women. It is kind of tribulation for their spiritual growth to women, otherwise, it is a situation to be never barely conceivable to men. Therefore, such research leads us to make concrete our past marriage history and the passion of it which couldn’t be appeared in the tale and think the meaning and completion of the marriage at present again.

목차

1. 머리말
2. 인물들의 행위와 관계에 나타난 특징
3. 한국의 혼인과 가족 문화에서 ‘분리’에 관한 집단 기억과 공유된 정서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주희(Jeon Juhee). (2019).한국의 혼인과 가족 문화의 관점에서 본 <선녀와 나무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9 , 101-153

MLA

전주희(Jeon Juhee). "한국의 혼인과 가족 문화의 관점에서 본 <선녀와 나무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9.(2019): 101-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