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처리심도와 『구덩이』 어휘 학습
이용수 111
- 영문명
- Depth of Processing and a Vocabulary Lesson of Sachar’s Holes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손향숙(Hyangsook Son)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22집 1호, 49~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mental lexicon lays a foundation for planning a vocabulary lesson in English literature class. Words do not exist separately in the mental lexicon. When a new word is recognized, it is categorized and organized in semantic fields. Mackey defines the semantic field as a network of associations, in which each word can be a centre of web of associations radiating in all directions. Categorization and organization in semantic fields facilitate storage and retrieval of words. The concepts of mental lexicon and semantic field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eaning in vocabulary lesson. Craik and Lockhart’s ‘depth of processing’ argues that retention and retrieval of words depend on the depth to which a new word is processed, and that only deeper processing leads to an improvement in memory. Depth of processing is interpreted as semantic processing, which emphasizes pre-existing knowledge and relationship of words. The depth of processing can be applied to a vocabulary lesson of an English literature class which reads Holes by Louis Sachar. This paper suggests selecting key words that can be centers of related themes through brainstorming, and building networks of words and developing those networks into semantic fields. Words like hole, gap, water, femininity, zero are presented as key words. Students are asked to suggest words associated with the key words, and to provide text details that explain their association logically. Sessions following the vocabulary lesson should be organized to ensure cumulative repetition of words tackled in the vocabulary lesson and to strengthen students’ knowledge and analysis of Holes.
목차
I. “처리심도”(Depth of Processing)에 기반한 어휘 학습과 영문학 수업
II. 『구덩이』 어휘학습의 키워드와 주제
III. 어휘학습 이후—축적적, 확장적 반복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덩이』의 심층적 의미 찾아보기: 상징과 이야기 구조의 상관성
- 처리심도와 『구덩이』 어휘 학습
- 행상인, 돌팔이, 무법자의 문학적 재현과 교육적 함의: 『구덩이』에 나타난 19세기 미국의 인종, 젠더, 계급
- 루이스 새커의 소설 『구덩이』에 나타난 동화적 특성
- 자기자비에 이르는 길: 루이스 새커의 『구덩이』
- 『구덩이』에 형상화된 환경 파괴와 복원의 우화
- 『아니타와 나』 읽기:영국의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의 문제
- 터키쉬 딜라이트와 버터 맥주, 와플의 경계선 사이:아동문학 속 음식의 메타포
- 지속불가능한 휴먼, 번성가능한 포스트휴먼:마가렛 애트우드의 『오릭스와 크레이크』
- Reconstructing Teaching Experience through Active Learning
- Suicide as an Autonomous Choice in ’night, Mother
- 비극의 (재)탄생: 세라 룰의 애도 3부작
- 21세기 영문학과 경영학의 융합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