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에 관한 국내 ․ 외 연구 고찰

이용수 563

영문명
A Review of the Research on Children s Social Cognition in Domestic and Overseas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한유진(Han, Yoo Jin)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9권 제6호, 191~22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사회인지발달 측정 도구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비교하여 살펴보고 국내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연구에서 살펴본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에 관한 연구는 국외 10편, 국내 7편, 총 17편이다. 국내․외 연구들에서 개발된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 도구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한 Demaray 등(1995)의 연구를 근거로 척도의 내용, 척도의 사용, 심리측정적 특성을 평가기 준으로 삼아 위 척도들을 비교하고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척도의 내용에서 국외의 사회인지발달 측정 도구들은 다양한 마음상태들을 측정 영역으로 하는 검사총집의 형태로 되어있었으며, 척도의 구성 에서 틀린믿음 과제를 기준으로 하여 단계를 구분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도구들은 다양한 마음상태들의 포함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었다. 둘째, 척도의 사용에서 국외와 국내의 측정 도구는 일대일 면접, 이야기책을 통한 질문, 양육자와 자녀의 대화 분석, 양육자의 평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심리측정적 특성에서 국외의 도구들은 검사의 양호도를 위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측정도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국내의 도구들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가 드물었으며, 국외의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타당도를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아동을 위한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xplore the tools used to measure child s social-cognitive development in Korea and abroad,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children in Korea. 〔Methods〕The study on the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measurement of children found in the study included 16 overseas, seven domestic, and 23 Based on studies by Demaray et al. (1995) who conducted comparative studies on the scales, the contents of the scales, the use of the scal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ales were compared and reviewed. 〔Results〕First, in the content of the first paragraph, social awareness measuring tools outside of the country are divided into stages based on false belief tasks in the composition of the scale in the form of a general inspection set of various states of mind as the measuring area, while domestic tools were trying to include various states of mind. Second, in the use of scales, foreign and domestic measurement tools were being us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one-on-one interviews, questions through storybooks, analysis of conversations between caregivers and their children, and parent’s equanimity. Third, there was an active study on developing measuring tools that verified feasibility and reliability for the safety of inspection, but domestic tools were rarely studied for developing measuring tools, and there was not much effort for feasibility even when using tools outside of the country. 〔Conclusion〕It suggested that various social or developmental measurement tools for children in Korea are included, and that efforts will be made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inspection will be mad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대상 논문 및 분류
Ⅲ. 국내․외 아동용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 비교 검토
Ⅳ. 국내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유진(Han, Yoo Jin). (2019).아동의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에 관한 국내 ․ 외 연구 고찰. 비교교육연구, 29 (6), 191-221

MLA

한유진(Han, Yoo Jin).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에 관한 국내 ․ 외 연구 고찰." 비교교육연구, 29.6(2019): 191-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