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몽골의 교육 및 대학입학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이용수 586

영문명
Education and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 Mongolia and Political Implications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NATSAGBADAM NARANTSETSEG 주동범(Ju, Dong-Beom) GANBAATAR ZOLZAYA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9권 제6호, 167~19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의 교육 및 대학입학제도를 살펴보고 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몽골에 대한 선행연구, 관련자료, 웹사이트 자료 등을 수집․분석하 였다. 〔연구결과〕첫째, 몽골의 교육 및 대학입학제도의 변천은 정치적 변천과 매우 관련이 깊다. 둘째, 몽골의 교육 담당 중앙 부처는 1924년 교육부이었으나 현재는 교육․문화․과학․체육부이다. 이 부처는 몽골의 교육관련 법률, 교육의 기본방 향, 교육기본규칙, 평가 및 감독 등에 관한 권한을 가지고 있으므로 몽골의 교육은 중앙집권적인 성격이 강하다. 셋째, 몽골의 교육제도 변천은 크게 3단계(근대 학교의 태동, 사회주의 교육체제의 발달, 시장경제 교육체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넷째, 몽골의 대학입학제도 변천은 1940년 이후 크게 6단계(사회주의 체제 하의 대학입학제도, 대학별 입학시험제도, 지역할당제도, 고등학교 선발제도와 지역할당제도 병행제, 민주화 이후의 대학입학제도, 현재)로 나눌 수 있다. 〔결론〕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 및 교육정책적 시사점 등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 and university admission system of Mongolia and provide it’s political implications. [Methods] For thi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revious studies, relevant materials, and website materials, and so on about Mongolia. [Result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the education and university admission system of Mongolia is deeply related to political change. Second, the central office in charge of education was ministry of education in 1924, but now is ministry of education․culture․science․ athletic. The ministry has some authorities about Mongolian educationrelated law, educational basic directions, educational basic rules, evaluation and supervision, and so on. Therefore, Mongolian education is strong centralization. Third, the change of Mongolian educational system can divide into three stages(birth of modern school, development of socialism educational system, and market economy educational system). Fourth, the change of Mongolian university admission system since 1940 can divide into six stages(university admission system under socialism system, admission test system by university, area allocation system, the parallel of high school selection system and area allocation system, university admission system since democratization, and now). [Conclusion] Some discussions and educational political implications about the main results are provided.

목차

Ⅰ. 서 론
Ⅱ. 몽골의 특성
Ⅲ. 몽골의 교육제도
Ⅳ. 몽골의 대학입학제도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NATSAGBADAM NARANTSETSEG,주동범(Ju, Dong-Beom),GANBAATAR ZOLZAYA. (2019).몽골의 교육 및 대학입학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9 (6), 167-190

MLA

NATSAGBADAM NARANTSETSEG,주동범(Ju, Dong-Beom),GANBAATAR ZOLZAYA. "몽골의 교육 및 대학입학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9.6(2019): 167-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