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핀란드 고등학교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특징 분석

이용수 1370

영문명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Finnish High School Curriculum focusing on Students’Course Selection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서공주(Suh, Kong-ju) 박찬호(Park, Chanho)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9권 제6호, 27~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핀란드 일반계 고등학교의 선택적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핀란드의 국가교육과정을 살펴보고 핀란드 수도인 헬싱키시와 인근 도시 에스푸시의 학교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핀란드의 선택형 교육과정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 고등학교 최소 졸업 요건은 3년간 최소 75개 과정을 이수하고 합격 등급을 부여받는 것이다. 국가교육 과정은 필수 과정과 심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교교육과정인 응용 과정은 학교별 특색에 맞게 개설‧운영되고 있다. 무학년제를 기본으로 하는 핀란드 고등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교육과정 자율성이 높은 반면 필수 과정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이 특징으로 필수 과정의 비율이 최소 47개로 졸업 이수 기준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둘째, 헬싱키시의 경우 학생들의 교과선택권을 확보하면서 단위 학교의 부담을 낮추어주기 위해 시가 운영하는 11개 공립고등학교를 3개의 캠퍼스로 묶어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헬싱키시 전체가 시간표의 일부를 공통된 시간에 운영하여 단위 학교에서 개설하지 않는 과정은 인근 학교 또는 시내 다른 학교에서 이수할 수 있는 인프라와 사전 수강 신청과 사후 수정‧보완을 통해 학생이 자신이 듣고 싶은 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셋째, 이수/ 재이수 절차를 법적으로 규정하여 불합격이 된 경우나 성적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 성적에 대한 이의신청 및 재시험 절차를 거쳐, 판별보다는 성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성공적 운영을 위해 ‘필수 이수 단위의 확보’, ‘공동 교육과정의 운영’, ‘이수/재이수 제도의 유연성’ 등을 제안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nish high school curriculum and to find out its implication for Korean high school credit system. [Methods] For this goal, Finland’s curriculum documents, policy documents, and information on web-sites operated by the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and schools of Helsinki and Espoo wer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Finland’s high school curriculum requires students to complete minimum 75 courses while making sure students to take 47 or 51 compulsory courses. The compulsory courses account for more than 60%, which secures students to focus on majo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mother language. Finnish high schools are given freedom of school curriculum, which made each school’s curriculum different from each other. Helsinki city government helped to build up cooperative environment for high schools with relating public schools into 3 campuses. The city government also helped to build up on-line co-curriculum for all the students of Helsinki city. The Finnish national curriculum gives students chances to recover their failed grades, focusing growth than screening. [Conclusion]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Korea’s high school credit system including

목차

Ⅰ. 서 론
Ⅱ. 핀란드 고등학교 국가 교육과정
Ⅲ. 헬싱키와 에스푸의 고등학교 학교교육과정 운영
Ⅳ. 한국 고교학점제를 위한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공주(Suh, Kong-ju),박찬호(Park, Chanho). (2019).핀란드 고등학교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특징 분석. 비교교육연구, 29 (6), 27-54

MLA

서공주(Suh, Kong-ju),박찬호(Park, Chanho). "핀란드 고등학교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특징 분석." 비교교육연구, 29.6(2019): 2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