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 전쟁 관련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와 역사교육적 의미

이용수 264

영문명
A Study on the Exhibition Narratives of War Memorial Halls in East Asian Countries and its Implications for History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이아름(Lee, Ahrum) 박현숙(Park, Hyunsook)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35호, 297~33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동아시아 역사 갈등의 대표적인 주제인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과 난징대학살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그 역사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은 전쟁의 비참함, 원폭으로 인한 피해를 선택하여 전시하고 있으며, 평화에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 전쟁 발발 책임에 대해서는 회피하고 있다. 피폭과 피폭 이후의 히로시마에 초점을 맞추면서 피폭 이전의 히로시마와 원폭이 투하되게 된 원인을 찾을 수 있는 큰 맥락으로서의 사건인 아시아태평양전쟁은 배제되어 있다. 난징대학살기념관은 방대한 자료와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통해 난징대학살이 역사적 사실임을 보여주며 난징대학살을 허구라고 부정하는 일본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난징대학살기념관은 ‘애국주의 교육기지’로 지정되어 중국의 항전기억을 통한 애국주의의 함양에 이바지하고 있다. 한편, 뤼젠이 분류한 4가지(전통적, 전형적, 비판적, 발생적) 역사의식 유형을 통해 전시를 살펴보았을 때, 히로시마 평화기념자료관과 난징대학살기념관은 여러 내러티브를 통해 다양한 역사인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과거 전쟁과 피해에 대한 관점에 따라 현재를 이해하는 방식이 달라지면서 나타나게 된 결과이다. 특히, 두 기념관은 전통적, 전형적 유형의 역사의식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20세기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갈등을 겪은 동아시아 3국의 과거사는 단순히 역사적 사실에 그치지 않고 현재에까지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역사교육은 소통의 창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쟁 기념관은 과거의 역사를 이해하고 미래지향적인 화해로 나아갈 수 있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전쟁 기념관과 같이 기억의 사회적 재생산 장치가 가지는 의미는 한 국가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 전쟁을 경험했던 여러 나라들과 연관된 초국가적인 문제이므로, 동아시아 3국의 기억을 재현하는 기념관에서의 역사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stories described through the exhibition narratives of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and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In an exhibition, historical relics are carefully selected and arranged to deliver the intended messages. Since those selected relics could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text,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exhibition narratives as those selected relics could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ontext.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chose to display the cruelty of the war and the damages caused by the atomic bomb. Thus the displa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eace while avoid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outbreak of the war. In historical context, its narrative only indicates how much damage Japan suffered from the atomic explosion in Hiroshima, separating the brutality of the invasion from the damage. On the other hand,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proves that the massacre is an indisputable historical fact, to contradict the ‘right-wing organizations’ of Japan who denies the happening of the massacre. Also, it functions as the place to educate the Chinese nationalism. This study tries to extract historical consciousness embedded in the exhibition narratives. Here, four types of Jörn Rüsen’s distinc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raditional, exemplary, critical, genetic is employed. Neither the Hiroshima Peace Memorial Museum nor Nanjing Massacre Memorial Hall applies merely a single typ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Rüsen suggested. The two memorial museums display various ways of historical awareness by using diverse narratives that show the four type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the views understanding of the past warfare and damages changed over time. History education is not about delivering the facts of the past but guiding the public to have the right view about the past which is based on self-understanding. Because of the experience of the war in the 20th century, the view of self-understanding of each of East Asian countries was altered. As a result, the view of each other also differed, which reflected on the exhibition of memorial museums. As time passes, the concern of improper history awareness is raised due to gradual loss of actual experience and memory. Especially, for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who suffered extreme conflicts, the memories of the past is still a key factor of the conflicts of today. In the current situation, the responsibility of passing down the memory of the past and raising critical historical consciousness b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Accordingly, memorial museums should be the means to understand common history and to achieve a future-oriented reconciliation between the related countries. The memorial museums carry war memories that are not restrained to history of a single country. In the light of current international conflicts regarding past memories,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pay attention to the memorial museums that represent the contemporary history of three East Asian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기념관의 역할과 전시 내러티브
Ⅲ. 일본과 중국의 전쟁 기념관 전시 내러티브
Ⅳ. 동아시아 전쟁 관련 기념관 전시의 역사교육적 의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아름(Lee, Ahrum),박현숙(Park, Hyunsook). (2019).동아시아 전쟁 관련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와 역사교육적 의미. 역사교육연구, (35), 297-336

MLA

이아름(Lee, Ahrum),박현숙(Park, Hyunsook). "동아시아 전쟁 관련 기념관의 전시 내러티브와 역사교육적 의미." 역사교육연구, .35(2019): 297-3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