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이용수 95

영문명
The Multifaceted-Approach Model of Restricted Destination Image: Focused on the cases of North Korea Tourism Big data
발행기관
대한관광경영학회
저자명
노희경(Noh, Heekyung)
간행물 정보
『관광연구』제34권 제7호, 77~10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한적 목적지의 관광이미지를 다차원적으로 이해하고 측정하는 학술적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북한관광을 사례지역으로 설정하여 접근함에 따라 남북관광과 관련한 관광객의 관광이미지의 차원을 도출하고 이에 근거한 북한관광 및 통일관광의 정책적·제도적 방향에 대한 논리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Java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자체 구축한 웹크롤링을 활용하여 2014년 01월 0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로 5년간 국내 대표적인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와 카페에 게시된 글 중 ‘북한관광’을 검색어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Netminer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명사 및 형용사형 텍스트를 활용하여 제한적 목적지인 북한관광에 대한 총체적이미지를 형성하는 다양한 차원을 제시하였다. 이는 이미지의 다차원성에 기인하였으며, 제한적 목적지는 심리적 거리, 구조적 제약 등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일반관광목적지 이미지 형성체계와 차이가 존재하므로, 인지적·정서적 차원뿐만 아니라 감성적, 지각적 구조 차원, 동기촉진 이미지 차원으로 접근하는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basis for understanding and measuring multi-dimensional tourism images of restricted destinations. As we approach North Korea tourism as a case area, to derive the dimension of tourist image related to tourism between the two Koreas. And based on this, there is a purpose and significance to present the logic of the policy and institutional direction of North Korea tourism and Unification tourism. Using self-developed web crawling through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the data was collected as a search term for North Korea tourism among the articles posted on Naver and Daum s blogs and cafes from January 01, 2014 to December 31, 2018. And text mining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Netminer4 program. Using the analyzed nouns and adjective texts, explained various dimensions that form a holistic image of North Korea tourism, one of the restricted destinations. Restricted destinations differ from general tourist destination image forming systems due to their specificity such as psychological distance and structural constraints. Therefore, proposed a multi-dimensional approach model of the limited destination image approaching not only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 but also the emotional and perceptual structural dimension and the motivational image dimens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및 분석체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희경(Noh, Heekyung). (2019).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관광연구, 34 (7), 77-102

MLA

노희경(Noh, Heekyung).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관광연구, 34.7(2019): 77-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