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nfluence of Retrieval Distractor and Sequencing Distractor on Phonological Encod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이용수 14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Ji-Hye Hwang(황지혜) Ji-Wan Ha(하지완)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3, 735~74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음운부호화를 인출과 배열이라는 세부적인 처리 과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 위해 인출 방해자극과 배열 방해자극으로 구성된 음운부호화 점화 과제를 제작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부호화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4, 5세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pure SSD) 18명, 언어발달지체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SSD+LD) 8명, 일반아동(TD) 18명이었다. 인출, 배열, 비관련 방해자극을 청각적으로 제시하면서 목표단어의 이름을 명명하는 그림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방해자극은 목표그림 제시 전 -300 ms, 목표그림과 동시, 목표그림 제시 후 +300 ms와 같이 자극제시시간(SOA)을 다양하게 하여 제공되었다. 결과: 정확도에서는 SSD와 SSD+LD 집단이, 반응시간과 오류율에서는 SSD+LD 집단이 TD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확도에서는 인출 방해자극이, 반응시간과 오류율에서는 인출과 배열 방해자극이 비관련 방해자극보다 대상자들의 수행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인출 방해자극은 자극제시시간 +300 ms보다 이전 시점인 자극제시시간 0 ms와 자극제시시간 -300 ms에서도 촉진효과가 있었던 반면, 배열 방해자극은 자극제시시간 0 ms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비관련 방해자극에서는 음운 비활성화 오류가 유의하게 많았던 반면, 인출과 배열 방해자극에서는 음운 부분활성화 오류가 유의하게 많았다. 논의 및 결론: SSD 집단, 특히 SSD+LD 집단은 TD 집단보다 목표단어 이외의 자극에 더욱 민감하게 방해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방해 유형에 따라 오히려 촉진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으며 방해자극의 제시 시점에 따라서도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phonological encoding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SSD) using a priming task composed of a retrieval distractor and a sequencing distractor. Methods: The subjects were children with SSD, children with SSD with language delay (SSD+L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ged 4–5 years. A picture was given with distractor, in which children should ignore the distractor and name the picture. The three kinds of distractors (retrieval, sequencing, and unrelated distractor) were presented auditorily at each of three stimulus onset asynchrony (SOAs; -300 ms, 0 ms, +300 ms). Results: Both the pure SSD and the SSD+LD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nd the SSD+L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 time and error rate compared with the TD group. Both retrieval and sequencing distractors significantly improved the task performance when compared to the unrelated distractor. The retrieval distractor promoted the performance in all SOAs, whereas the sequencing distractor promoted subjects’ performance only in SOA 0 ms. With the unrelated distractor, phonological inactivation errors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However, phonation activation errors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both retrieval and sequencing distractors. Conclusion: The SSD group, in particular the SSD+LD group, may be more sensitive to distractors than the TD group.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distractors, a positive priming effect may be expected, and the effect may vary depending on the point of presentation of distracto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Ji-Hye Hwang(황지혜),Ji-Wan Ha(하지완). (2019).Influence of Retrieval Distractor and Sequencing Distractor on Phonological Encod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3), 735-748

MLA

Ji-Hye Hwang(황지혜),Ji-Wan Ha(하지완). "Influence of Retrieval Distractor and Sequencing Distractor on Phonological Encoding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Sound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3(2019): 735-7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