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ffect of Online and Offline Voice Therapy Programs in Patients with Hyperfunctional Voice Disorder: A Case Study

이용수 11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Ha-Na Lee(이하나) Jae-Yeon Yoo(유재연) Jun-Hee Park(박준희)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3, 814~826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음성치료는 음성산출행동을 바꾸어 더 나은 음성을 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환자의 꾸준한 연습과 행동 변화가 요구된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음성치료는 일상생활에서의 음성훈련을 독려할 뿐만 아니라 훈련 시 음성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 제공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음성치료 프로그램이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개선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과기능적 음성장애를 가진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음성치료는 Vocal Aerobic Treatment를 기반으로 실시하였으며, 주 1회의 오프라인 음성치료 프로그램과 주 1회 이상 온라인 음성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음성평가는 치료 전후로 음향학적 평가(MDVP, VRP), 공기역학적 평가(PAS), 주관적 음성평가(GRBAS, VHI)를 실시하였다. 결과: 음향학적 평가결과 치료 후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소음대배음비(NHR)가 감소하였으며 주파수범위(Hz)와 반음(semitone)의 개수가 증가하였다. 공기역학적 평가결과 폐활량(FVC), 최대연장발성시간(PHOT)이 증가하였으며 발성과 관련된 호흡기능의 향상이 나타났다. 주관적 음성평가 결과, 음성장애의 정도가 치료 전에 비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온·오프라인 음성치료 프로그램은 음성장애 환자의 음도와 음질개선, 음역 증가, 발성과 관련된 호흡기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음성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근거기반 임상에 활용되는 음성치료기법의 온라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Voice therapy aims to produce better voice quality by changing voice behavior. Patients are required to constantly practice and change their behavior every day. Voice therapy using smart phones not only encourages voice training in daily life, but also provides objective data during training. We investigated whether online and offline voice therapy programs using smartphones are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voice disorders.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 five patients with hyperfunctional voice disorder. Voice therapy was performed using vocal aerobic treatment (VAT). Offline VAT was performed once a week, and online VAT was performed more than once a week. Voice evaluations were achieved via acoustic evaluation, aerodynamic evaluation, and subjective voic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rapy. Results: The acoustic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Jitter, Shimmer and NHR decreased after therapy, while frequency range (Hz) and semitone increased. Aerodynamic evaluation illustrated increased expiratory volume (FVC), maximum phonation time (PHOT) and improved respiratory function related to phonation. Subjective voice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the degree of voice disorder was reduced compared to that before the therapy. Conclusion: The online and offline voice therapy progra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0 and voice quality of voice disorder patients as well as respiratory function related to phonation, and also in increasing the F0 rang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fficacy of online and offline voice therapy programs in a wide range of patients. Also, onlin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oice therapy techniques used in evidence-based clinical studies are suggested to be actively conduct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a-Na Lee(이하나),Jae-Yeon Yoo(유재연),Jun-Hee Park(박준희). (2019).Effect of Online and Offline Voice Therapy Programs in Patients with Hyperfunctional Voice Disorder: A Case Stud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3), 814-826

MLA

Ha-Na Lee(이하나),Jae-Yeon Yoo(유재연),Jun-Hee Park(박준희). "Effect of Online and Offline Voice Therapy Programs in Patients with Hyperfunctional Voice Disorder: A Case Stud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3(2019): 814-8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