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rotophone Development at 4-6 Months and 7-9 Months of Age

이용수 6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Hyunsung Jang(장현성) Seunghee Ha(하승희)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4. no.3, 707~71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음절성 옹알이 산출은 이후 말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이다. 본 연구는 4-6개월과 7-9개월의 발성 자료를 종단 수집하여 발성유형별 변화를 살펴보고, 7-9개월의 음절성 옹알이와 4-6개월의 원시발성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영아 15명을 대상으로 생후 4-6개월과 7-9개월에 LENA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system)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영아의 하루 동안의 발성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발성자료 중 아동 당 발성이 가장 많았던 100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는 녹음된 자료를 실시간으로 들으면서 각 발화를 6가지 발성형태로 분류하였다. 4-6개월과 7-9개월의 발성형태별 산출빈도를 비교하였으며, 7-9개월에 음절성 옹알이 단계에 진입한 아동과 그렇지 않은 아동으로 나눈 후 4-6개월의 포먼트 전이를 동반한 발성 빈도를 살펴보고 7-9개월에 산출한 음절성 옹알이 비율과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7-9개월에서 음절성 옹알이가 유의미하게 산출이 증가하였다. 음절성 옹알이 단계에 진입한 아동과 진입하지 못한 아동의 4-6개월의 포먼트 전이를 동반한 발성 빈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음절성 옹알이 비율과 4-6개월 포먼트 전이 유무에 따른 발성형태별 산출빈도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음절성 옹알이 단계 전과 후의 다양한 원시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음절성 옹알이의 시작이 다소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nset of canonical babbling is an important developmental precursor to spoken languag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evelopmental patterns of protophones at 4-6 months and 7-9 months of age and test whether frequent protophones with formant transition at 4-6 months would predict the onset of canonical babbling at 7-9 months. Methods: Vocalization samples using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 were obtained from 15 typically developing infants at 4-6 months and 7-9 months of age. Coders analyzed 20 five-minute segments with the highest child vocalization rate and determined the protophone type of each utterance. This study compared each protophone type at 4-6 months and 7-9 months. Infants we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 who did or did not reach the canonical babbling stage.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protophones with formant transition at 4-6 months and whether protophones with formant transition at 4-6 month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canonical babbling at 7-9 month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anonical babbling increased significantly at 7-9 months compared to 4-6 month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fants who do and do not reach the canonical babbling stage at 7-9 month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protophones with formant transition at 4-6 months, which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nonical babbling at 7-9 month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developmental patterns of protophones and suggests that most infants appear to begin canonical babbling suddenly rather than show gradual increas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unsung Jang(장현성),Seunghee Ha(하승희). (2019).Protophone Development at 4-6 Months and 7-9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 (3), 707-714

MLA

Hyunsung Jang(장현성),Seunghee Ha(하승희). "Protophone Development at 4-6 Months and 7-9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3(2019): 707-7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