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과 함께 하는 행복찾기 프로그램의 실제 - 김포시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
이용수 655
- 영문명
- The Practice of Program To Find Happiness with Art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Senior Citizens - Focused on the Gimpo City Senior Citizensʼ‘ Welfare Center -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조미경(Cho, Mi Kyoung) 심영옥(Sim, Young Ok)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3券 3號, 167~19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김포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ʻ노인들의 행복 드리기ʼ 프로그램 일환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노인미술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년기는 생애 중 자신감과 자존감이 차츰 낮아지는 시기이다. 특히 은퇴자나 가정주부로 일생을 보낸 경우는 이들을 포용할 사회적 제도가 마련되지 못하면, 생에 대한 좌절감이나 포기가 더 빠르게 추락한다. 이에 ʻ미술과 함께 하는 행복찾기ʼ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이러한 노년기의 상황을 극복하고 자아존중감을 보존 및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나, 동반자, 가족, 희망의 4가지 영역으로 10회기의 노인미술 프로그램은 수업 마다 보여준 반응과 설문지 결과 약 87% 이상 어르신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how art program which the writer has developed as a part of program ʻto give happiness to the senior citizensʼ at Gimpo City Senior Citizens Welfare Center(GCSCWC), influenced on the self-esteem of the senior citizens.
Typically, the senescence makes senior citizens feel less confident and have low self-esteem. Especially, in the cases of the retirees or those who have spent their whole lives as a housewife, they feel more frustrated or have bigger abandonment for life unless there is social system that could embrace them. So, the present paper aimed at developing a program to find happiness with art and applying it in order to help them overcome these situations in the senescence, keep and improve their self-esteem.
It was revealed that the self-esteem of about 87 % of the senior citizens in the GCSCWC have been impro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responses for the 10 sessions of the senior citizensʼs art program in the four areas of I, Companion, Family and Hope, and their questionnaires.
목차
Ⅰ. 서론
Ⅱ. 노인의 자아존중감 이해
Ⅲ.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과 함께 하는 행복찾기’ 프로그램 분석
Ⅳ. 자아존중감 효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 및 생명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인류세 시대 미술의 특징
- 미술교육에서 ‘미술적 발달’ (artistic development)의 의미와 범주
-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과 함께 하는 행복찾기 프로그램의 실제 - 김포시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
-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향하여 -
- 미국 시카고 예술대학 ATS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STEAM 교육에의 접근 - 뉴미디어 아트를 중심으로 -
- 명화 활용 미술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 심미적 감성 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
- 창의력 향상과 인성 함양을 위한 미술관 교육 연구 - ≪북유럽 디자인 NORDIC SPIRIT≫ 전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담화분석을 통한 시각중복장애 학생들의 시각예술창작 경험 탐구 - 어려움을 드러내기ʼ의 어려움 *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