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 <월남사지진각국사비>의 서체와 서풍

이용수 90

영문명
The Calligraphic Script and Style of Wollamsaji Jingakguksa bi in the Goryeo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정현숙(Jung, Hyun-sook)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35호, 37~6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라남도 강진군에 있는 <月南寺址眞覺國師碑>는 1234년 입적한 고려 후기의 고승 慧諶을 기리기 위해 1250년에 세운 비다. 비문은 李奎報가 혜심 입적 후 지었고, 건비 전에 崔滋가 음기를 지었다. 전면에서 비액은 鄭晏이, 비문은 金孝印이 썼고, 후면인 음기는 승려 卓然이 썼다. 이 글은 한국 서예사에서 드물게 서자가 세명인 <진각국사비>의 서체와 서풍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서체를 보면 비액, 비문, 음기 모두 해서로 쓰였다. 10, 11세기에 사용된 전서와는 다른, 해서가 비액의 서체로 사용된 것은 12세기부터다. 서풍을 보면 비액과 비문인 전면은 안진경풍, 음기인 후면은 저수량풍으로 쓰였다. 이런 서풍이 사용된 데에는 여러 가지 배경이 있다. 첫째, 고려에서 안진경풍과 저수량풍을 배워 자가풍을 이룬 송사대가의 글씨가 유행했는데, 이런 서예 사조로 따른 것이다. 둘째, 비는 2대 무신집권자인 최이의 후원과 그를 이은 아들 최항의 실질적 주선으로 건립되었기 때문에 무인 서예가 안진경의 풍후하면서 웅강한 서풍이 무인들의 예술적 취향에 부합했을 것이다. 셋째, 후기 무신정권집권 기간에 본격적으로 교세를 확장하기 시작한 비교적 쉽고 자유로운 선종 사상이 유려한 저수량풍과 일맥상통한다. 전기 문신정권집권 기간에는 교종이 우세했고, 조금은 복잡하고 난해한 교종 사상은 경직된 구양순풍과 어울려 실제로 전기에는 구양순풍이 성행했다. 마지막으로 비가 세워진 곳은 옛 백제 땅인데, 출토 자료로 볼 때 백제는 구양순풍보다는 곡선미가 돋보이는 저수량풍을 선호했다. 따라서 600여 년이 지난 후에도 이 지역에서는 저수량풍 해서가 애호되었을 것이라는 추론도 가능하다. 이런 정치적·문화적·종교적·지리적 상황을 배경으로 탄생한 이 비는 당대의 명필 정안, 김효인, 탁연 세 사람 글씨의 출중함 때문에 고려 서예사에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영문 초록

Wollamsaji Jingakguksa bi at Gangjin-gun, Jeollanam-do, was erected to praise Hesim, a high priest of the late Goryeo dynasty, in 1250. Lee Gyu-bo wrote the sentence of front side after his death and Choi Ja that of back side before the establishment. Jeong An wrote the title of stele, Gim Hyo-in the front side, and monk Takyeon the back side. This paper is to study the calligraphic script and style of the stele written by three calligraphers. In the calligraphic script the title, front side, and back side were all written in regular script. The regular script was used as the calligraphic script of title from the 12th century. In the calligraphic style the title and front side were written in the style of Yan Zhenqing and the back side that of Chu Suiliang. In the background of the two calligraphic styles, there are several elements. The first is the influence of the four great calligraphers of the Northern Song, who created their own styles based on the styles of Yan Zhenqing and Chu Suiliang. At that times the calligraphy of the four was prevailed in the Goryeo society. The second is that the rich and powerful style of Yan Zhenqing, a military calligrapher of the middle T’ang, accords with the artistic taste of the military government of the Choi family. The stele was erected in the supports of Choi Yi, the second generation of it, and the actual arrangement of Choi Hang, the third generation of it. The third is that the flowing style of Chu Suiliang corresponds with the easy and free idea of Zen Buddhism that was prevalent during the period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 last is the influence of the geographic background that Geolla-do was the land of Baekje until the 7th century. Baekje people liked the curved and soft style of Chu Suiliang rather than the slim and stiff style of Ouyang Xun. Due to the excellence of the three calligraphers, the stele born with such political, cultural, religious, and geographic backgrounds hold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calligraphic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진각국사비>의 건립 배경
Ⅲ. 고려비 서체와 서풍의 흐름
Ⅳ. <진각국사비>의 서체와 서풍
Ⅴ. <진각국사비> 서풍의 형성 배경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숙(Jung, Hyun-sook). (2019).고려 <월남사지진각국사비>의 서체와 서풍. 서예학연구, (35), 37-67

MLA

정현숙(Jung, Hyun-sook). "고려 <월남사지진각국사비>의 서체와 서풍." 서예학연구, .35(2019): 3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