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이용수 532

영문명
Parenting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발행기관
한국가족학회
저자명
이지연(Lee Ji yeon) 그레이스 정(Grace H. Chung)
간행물 정보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31집 2호, 182~227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탐색하여 이중민족가족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수행해나가는 주체적인 양육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남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5세 이상 유아나 초등학생 자녀를 1명 이상 양육하고 있는 수도권 거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22명을 개별심층면접하였으며, 근거이론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은 크게 네 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첫째,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의 경제적 필요를 채우고 당당한 엄마로 서기 위해 경제활동에 임하고 있었으나, 생계와 돌봄공백 앞에 이중민족사회화는 요원하였다. 둘째, 학습지도에 치우친 한국의 양육담론 속에서 자녀의 공부와 학업성취를 한국사회의 주류 경험으로 인식하였으나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베트남에 대한 한국사회의 차별과 편견, 주변화 되어있는 베트남의 민족적 지위는 이들의 주체적 양육을 제한하였으나 이들은 양육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협상하고 조정하였다. 넷째, 자녀에게 베트남의 문화와 전통을 전달하는 문화적 사회화의 실천에는 베트남 문화에 대한 가족들의 존중 정도와 가정 내 권력관계가 반영되어 있었다. 네 가지 범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을 아우르는 핵심범주가 ‘위계의 교차 위에 놓여있는 이중민족사회화’임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이중민족가족 내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민족적 소수자의 이중민족사회화가 개인이 처한 다양한 위계의 조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조명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in the Korean society by referring to the concept of bi-ethnic socialization.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2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residing in the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They were raising at least one chi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or preschool aged over 5 who had a Korean biological father.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data with the participants. Firstly, the contents of parenting experiences that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comprised of 4 categories. For the first category,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economic activities to meet the financial needs of their families both in Korea and Vietnam and to become capable and proud mothers. However, due to the economic hardships that require immediate attention and the subsequent child care gap, the participants expressed difficulty in practicing ethnic socialization of their children. The second category represented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who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s the mainstream experience of the Korean society. The way they supported their children’s academics varied depending on their financial situations,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The third category depicted the limitations in practicing certain parenting behaviors due to the pervasiveness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resulting from the marginalized status of the Vietnamese ethnicity in South Korea. However, they negotiated and adjusted their position as parenting agents and simultaneously performed preparation for bias as mothers raising bi-ethnic children. The fourth category characterized the practice of cultural socialization that transmitted Vietnamese culture and tradition to their children, which was deeply related to the attitudes of their family members toward the Vietnamese culture. Cultural socialization was not only a matter of preference but also a reflection of respect for the Vietnamese culture, and of power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Secondly, the core category discovered from this study was the bi-ethnic socialization at the intersection of hierarchies. In the four categories of parenting experiences discussed above, the practice of bi-ethnic socialization enacted by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specific contents of bi-ethnic socializ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 and the family. Therefore,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positions of various social roles/statuses in which each participant belonged, various forms of bi-ethnic socialization indicated the intersectionality does not exist in a single dimension but a matrix of multiple dimensions. The core category suggests that bi-ethnic socialization of the ethnic minority population could vary depending on their statuses on multiple social dimension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연(Lee Ji yeon),그레이스 정(Grace H. Chung). (2019).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가족과 문화, 31 (2), 182-227

MLA

이지연(Lee Ji yeon),그레이스 정(Grace H. Chung).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가족과 문화, 31.2(2019): 182-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