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좌제와 출신성분의 규정력을 통해 본 해방 후 북한의 가족정책

이용수 112

영문명
Family Policies in NorthKorea after the Liberation Considered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Implicative System and Family Classe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재웅(Kim, Jae-Woo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7집, 313~34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해방 후 북한은 가족관계에 연좌제를 적용하였다. 주로 좌익 가정에 적용되었던 남한의 연좌제와 달리, 북한의 연좌제는 지주ㆍ친일파ㆍ월남자ㆍ기독교도 등의 가정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게 적용되었다. 출신성분에 따른 차별은 북한의 연좌제를 구성한 핵심 요소였다. 출생 당시 부모의 직업을 의미하는 출신성분은 가족 구성원들을 하나의 계급 틀에 가둠으로써, 국가가 그들을 포섭하거나 배제하는 척도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개개인들이 작성한 자서전과 그들을 평가한 당국자들의 평정서에 기초하여, 연좌제가 적용된 북한의 가족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마르크스주의적 계급관을 현실에 적용한 북한이 상이한 계급의 가정에 어떠한 접근법을 구사 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자서전 자료는 역사의 현장에 있었던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당대의 시 대상과 사회상을 생생히 드러낸다. 당대인들의 활동은 물론 내면세계에까지 접근한 이 연구는 그들의 경험 조각들을 하나하나 이어 붙여, 북한의 가족 정책과 계급 정책을 사회사적ㆍ일상사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fter the liberation, North Korea applied an implicative system to family relations. Unlike the South Korean implicative system, which was mainly applied to left-wing families, in North Korea it was widely applied to landowning, pro-Japanese, and Christian families, and so on. Discrimination based on the family class was a key element of the implicative system in North Korea. The family class, which meant the parental occupation at the time of birth, was used as a measure for the state to subsume or exclude family members by putting them into a single class fram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family culture of North Korea based on autobiographies written by individuals and the evaluation documents written by officials who evaluated them. In addition, it will investigate how North Korea, which tried to put the Marxist perspective on class into practice, handled families belonging to various classes. The autobiographies reveal vivid images of the times through people’s voices. By considering individuals’ inner world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contemporaries, this study will try to reconstruct North Korea s family and class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and everyday history by piecing these experience fragments together.

목차

1. 머리말
2. 불온한 가정의 범주와 연좌제
3. 국가의 가정 장악과 가족 구성원 제재
4. 출신성분에 기초한 개인 평가
5. 무산계급 우대와 착취계급 억압
6. 착취계급의 몰락과 순응
7.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웅(Kim, Jae-Woong). (2019).연좌제와 출신성분의 규정력을 통해 본 해방 후 북한의 가족정책. 동방학지, 187 , 313-341

MLA

김재웅(Kim, Jae-Woong). "연좌제와 출신성분의 규정력을 통해 본 해방 후 북한의 가족정책." 동방학지, 187.(2019): 313-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