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녜스 바르다, 여성의 역사, 영화적 실천

이용수 535

영문명
Agnes Varda, a History of Women, Cinematic Practice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변재란(Byun, Jairan)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38권 2호, 121~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누벨바그의 유일한 여성감독이었던 아녜스 바르다Agnes Varda(1928~2019)의 시네페미니즘 실천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이다. 바르다의 데뷔작인 <라 푸엥트 쿠르트로의 여행>(1954)은 누벨바그의 진정한 첫 번째 영화였으며 이른바 도제 시스템과 문학적 시나리오에 기반한 ‘장인 중심의’ 영화 시스템의 관행과 단절을 이뤄내며 ‘새로운 영화’의 시작을 알렸다. 사진에서 출발, 시간을 기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영화로 전환한 아녜스 바르다는 이미지의 흐름을 통해 ‘영화로 글쓰기 cinecriture, cinemawriting’를 시도했다. 이를 통해 실제 삶에서 중요하고 절실한 문제를 다루지 않고 형식적인 면에서도 진부한 상업영화 와는 다른 방식의 영화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자신의 영화를 통해 드러냈다. 이미지와 사운드라는 영화적 장치를 통해 현실적 시간을 상기시키며 영화를 통해 삶속의 죽음에 대해서 질문했던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1962)의 바르 다는 60년대와 70년대 그리고 80년대를 지나며 누군가의 죽음을 재현하는 증언 자로서의 역할로 나아간다.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넘나들며 ‘여성의 초상’ 을 그린다는 점에서 <클레오>와 <방랑자>(1985)는 유사한 지점이 있다. 보여지는 존재로부터 바라보는 주체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을 다룬 <클레 오>처럼 <방랑자>는 여성의 독립, 자유에 대한 갈망, 탄생과 죽음의 순환 등에 대해서 질문했다. 바르다의 첫 색채영화인 <행복>은 과도한 음악과 화려한 색채로 결혼제도의 아이러니를 드러내며 남성과 여성에게 강요되어온 젠더체계가 얼마나 공고한가를 냉정히 제시한다.1972년부터 본격적으로 여성주의 운동에 참여한 바르다는 페미니스트 뮤지컬인 <노래하는 여자, 노래하지 않는 여자>(1977)에 프랑스의 여성 재생산권의 역사를 기입한다. 자신의 경험이기도 한 343명의 낙태선언, 시위, 보비니재판 같은 많은 투쟁후에 여성이 낙태가 가능한 법적 지위를 확보하기까지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프랑스 사회를 연대기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임신한 여성을 둘러싼 모순적 현실을 보여준 <오페라 무페 거리>(1958), <여성들의 답변>(1975)과 함께 모성을 다룬 3부작이 된 이 영화는 그 전경에 다른 기질, 배경을 가진 두여성 인물들을 배치해서 매우 다른 삶을 살았지만 동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으로서 격을 수 있는 여성의 몸을 둘러싼 권리를 발견하고 삶을 헤쳐 나가는 과정을 우정 어린 목소리로 기록해나간 것이다. 바르다는 자신의 영화에 대해서 다큐멘 터리적인 측면이 없는 극영화는 없으며 미학적인 의도가 없는 영화는 없다는 신념을 모순의 병치를 비롯한 자신의 미학으로 표현했다. 여성이 자신감을 되찾고 정체성을 찾아가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시네페미니즘으로 실천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e process of cine-feminism to Agnes Varda who was the only female director of Nouvelle Vague. La Pointe Courte (1954), her devout, was the first genuine Nouvelle Vague movie that cut off the metteur en scence centered cinema system, based on apprenticeship and literary scenario, and announced the beginning of the new era . Converted to cinema, from photograph adding time, Agnes Varda tried cinécriture (cinema-writing) via flow of images. This led to her intention, making types of movie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commercial ones which hadn t dealt with the important and crucial problems of real life but filled with mundane cliche; which was shown through her work. Using cinematic tools like image and sound, Varda reminded practical time and asked about death within life by Cleo De 5 A 7 (1962). From sixties through eighties, she took a role as a witness who had represented someone s death. Cleo and Sans Toit Ni Loi (1985) had something in common, illustrating women s portrait by crossing over boundaries of fiction and documentary. Like Cleo, which drew a journey to find one s identity as not an observed object but a watching subject, Sans Toit Ni Loi (Vagabond) questioned about women s independence, longing to be free, and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 Varda s first color movie, revealed the irony of marriage institution with excessive music and vivid tone, and cynically presented how firm the gender system, which forced itself to men and women, was. Varda, who earnestly participated in feminist movement from 1972, chronically documented France society from 1960s to 1970s, when women attained the legal right for abortion after 343 abortion declarations manifesto, protests, and the Bobigny trial, in L Une Chante, L Autre Pas(One Sings, The Other Doesn t) (1976). L Une Chante, L Autre Pas became one of the three movies that dealt with motherhood along with L’Opera-Mouffe (1958), which showed ironical reality around pregnant women, and Reponse de femmes: Notre corps, notre sexe (1975) that came after. Those diverse women in her works carried different bodies and practical terms that made difficult to define in one word; and, L Une Chante, L Autre Pas was also along the line.It described the revolution of law and institution with two women who had different disposition and background so that it could portray two very different but contemporary lives as women: discovering their reproductive right, and working their ways through life. Varda was a director who cinematically practiced her belief - not one film drama had zero contradiction-juxtaposion, documentary side, or aesthetics intention - with her own cine-feminism - there were various ways to find one s confidence and identity.

목차

Ⅰ. 누벨 바그, 새로운 영화 만들기
Ⅱ.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경계 너머, 여성의 초상
Ⅲ. 영화적 실천, <노래하는 여자, 노래하지 않는 여자>
Ⅳ. 바르다의 페미니즘, 바르다의 영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재란(Byun, Jairan). (2019).아녜스 바르다, 여성의 역사, 영화적 실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8 (2), 121-142

MLA

변재란(Byun, Jairan). "아녜스 바르다, 여성의 역사, 영화적 실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8.2(2019): 121-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